#. 호흡기 계열에 특화된 A제약은 20억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 의사 대상 온라인 플랫폼을 오픈해 올해 본격 운영에 돌입했다. 하지만 오픈 직후 이를 전담하는 직원이 퇴사해 해당 플랫폼은 현재 방치 수준에 머물러 있다.
#. 중견 제약사로 분류되는 B제약은 회사 수뇌부의 지시에 따라 자체 온라인 플랫폼을 개발했다. 하지만 의사들이 호응이 기대에 못 미치자 영업사원 마다 할당량을 설정, 의사 회원 유치에 들어갔다.
지난 2년 간 코로나 대유행 속에서 제약사들이 경쟁적으로 뛰어 들었던 의사 대상 온라인 플랫폼 시장.
하지만 감염병 터널을 지나 일상회복이 본격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일부 온라인 플랫폼은 '애물단지' 취급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제약업계와 의료계에 따르면, 현재 의사 대상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한 제약사는 약 20개 업체에 달한다. 여기에 제약사 외 기존 플랫폼 기업들까지 합하면 30개가 넘어서는 상황이다.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온라인 영업·마케팅 외에는 대안이 없어지자 각 제약사들이 경쟁적으로 시장에 뛰어들면서 나타난 현상.
올해 들어서도 대원제약, 안국약품 등이 새롭게 온라인 플랫폼 시장에 뛰어드는 한편 보령은 기존 플랫폼을 개편하는 등 시장은 오히려 더 커진 형국이다.
온라인 플랫폼을 운영하는 제약사들은 자체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해 대규모 학술프로그램을 개최하며 의사 회원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다.
하지만 올해 들어 주요 학회들이 온라인이 아닌 대면 학술대회 개최로 전환하면서 제약사들의 운영하는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학술프로그램 필요성이 크게 떨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진료과목 의사회 임원은 "제약사들이 경쟁적으로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대규모 학술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며 "제품을 설명해야 할 제약사 별 영업사원이 도리어 학술프로그램 참여를 독려하고 있는 형국"이라고 현실을 꼬집었다.
이 가운데 최근에는 온라인 플랫폼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제약사 간 상호 견제가 더 심해지고 있는 형국이다.
비대면 영업에서 금지되는 '유료 임상논문' 제공을 놓고서 제약사 별로 경쟁 플랫폼을 상시 확인하며 문제점을 찾아 관련 협회에 문제 제기하는 것은 이제 흔한 일이 돼버렸다.
동시에 일부 제약사는 외주 업체를 통해 플랫폼을 개발‧오픈했지만 이를 상시로 맡아 운영할 전담직원이 나가면서 '골칫거리'로 전락하는 사례도 존재한다.
온라인 플랫폼을 운영하는 한 제약사 임원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마일리지나 포인트를 지급하지만 이를 통해 유료 논문 등을 제공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금지된다"며 "코로나 장기화 상황 속에서 개선 필요성이 존재했지만 결국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경쟁 플랫폼의 문제 소지가 있다면 즉시 문제를 제기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오프라인 학술대회 전환 속에서 의사 대상 플랫폼을 유지해야 하니 어쩔 수 없이 벌어지는 현상"이라며 "남들이 한다고 뛰어들었다가는 이제 쉽지 않은 시장이 된 지 오래"라고 평가했다.
또 다른 제약사 관계자도 "온라인 플랫폼 시장의 경쟁력은 결국 의사 회원의 수다. 제약사 별로 의사 회원 유치가 빈익빈 부익부로 나뉜다"며 "뒤늦게 뛰어들었다가는 이도 저도 하지 못하는 일이 벌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