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영업 관련 문서는 중앙 컴퓨터를 통해 통제된다."
"리베이트 조사 방문시 직원들이 해야할 행동 방침을 만들었다."
제약업계가 내부 기밀 유출을 막기 위해 여념이 없다.
최근 복지부, 검·경, 공정위, 식약청 등 정부와 사정당국이 리베이트 조사를 위해 잇따라 국·내외 제약사를 방문한 데 따른 일련의 움직임이다.
특히 경찰청이 4월부터 9월까지 의약품 리베이트 행위를 집중 단속한다는 입장을 밝힌 이후 업계의 긴장감은 더욱 고조되고 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정부의 리베이트 조사 움직임이 그 어느 때보다 활발해지면서, 제약사별로 영업 기밀 누설 방지를 위한 특단의 조치가 이어지고 있다.
중앙 서버에 문서를 통합관리 하는가 하면, 직원 입단속에도 철저를 기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한 중소제약사 임원은 "모든 영업관련 문서는 중앙 컴퓨터에 저장된다. 서류는 아무나 출력할 수 없고, 설령 인쇄해도 인적사항이 남는다. 내부고발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라고 귀띔했다.
이어 "영업 활동비 역시 통제를 받는다. 이것 역시 회사 중앙 컴퓨터에 기입해야 한다. 만약 A내과에 약을 넣기 위해서 판촉비가 얼마 필요하다고 입력하면, 회사의 판단 아래 돈이 나온다. 이 역시 보안을 위해 사이트가 열리는 시간이 따로 있을 정도"라며 혀를 내둘렀다.
'입단속'을 위한 직원 교육도 크게 늘었다.
다른 국내 상위 제약사 영업사원은 "최근 회의 시간마다 내부 기밀을 외부로 누출하면 안된다는 얘기를 끊임없이 듣고 있다. 마치 세뇌되는 느낌"이라고 털어놨다.
또 다른 국내 중소 제약사 영업사원도 "공정위 등에서 조사가 나오면 어떤 행동을 해야 한다는 행동 수칙까지 일일이 일러주고 있다"며 "무슨 범죄 조직에서 활동하는 것 같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한편, 정부의 리베이트 조사 움직임도 최근들어 매우 활발해지고 있다.
식약청 위해사범조사단은 바로 어제 약처방 대가로 리베이트를 제공한 혐의를 조사하기 위해 국내 K제약을 압수수색했다.
또 공정위 서울사무소는 지난 3월 한달간 국내제약 J사와 D사, 다국적제약 L사를 각각 방문 조사했다. 광주사무소도 D사와 J사를 급습했다. 확인된 곳만 한달 사이 5곳이다.
서울중앙지검은 오늘(5일) 리베이트 수사반을 발족한다. 여기에는 복지부, 식약청, 건보공단, 심평원, 경찰 등이 모두 참여한다.
경찰도 4월부터 9월까지 의약품 리베이트 행위 단속에 나선다고 선언했다. 주요 사건을 해결한 담당자에게 특진 등 인센티브를 줘 단속 효과를 높일 정도로 의지가 강하다.
중점 단속 대상은 ▲제약회사와 의료기관간 조직적 금품수수 행위 ▲고가의 의료장비를 제공하는 과정에서의 리베이트 행위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