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베이트 전담수사반 편성과 관련해 방송사와 주요 일간지들도 일제히 리베이트 때리기에 돌입하는 양상이다.
MBC는 아예 전담수사반 편성을 전면 톱에 걸었다. KBS는 두 꼭지를 리베이트 기사에 할애했다. SBS 역시 오늘의 주요 기사로 비중있게 리베이트 문제를 다뤘다.
이렇게 언론사들이 전면적으로 리베이트를 부각시키는 것은 리베이트가 사회와 결부돼 있다는 인식이 크다.
리베이트가 의료계에서만의 지엽적인 문제가 아니라, 리베이트로 들어가는 재정이 결국 건보 재정을 좀 먹는 사회적인 문제라는 지적이다.
리베이트 척결해야 한다는 주장은 옳다. 하지만 아쉬운 점은 있다.
언론사들이 리베이트를 바라보는 방식, 그리고 대안 부분이다.
언론사의 논리는 약값 거품이 의사들에게 리베이트로 들어가고 이는 건보재정의 악화로 이어진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즉 건보재정 악화의 주범이 의사라는 시각이다.
자세한 내막을 모르는 국민들이 방송을 본다면 편협된 시각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의사들은 리베이트가 필요 없으니 복제약값을 내리고 수가를 현실화해야 리베이트를 없앨 수 있다고 목소리를 내고 있다. 또 건보재정의 악화는 주요 원인은 의약분업 후 계속 급증하고 있는 조제료라고 목소리를 키운다.
하지만 주요 언론에서는 이런 근본적인 문제는 전혀 다뤄지지 않고 있다.
아쉬운 점은 또 있다.
언론사들은 오리지날과 제네릭이 약효가 동등하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참조 가격제' 도입을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약효가 동등하면서 가격만 차이난다는 전제는 자칫 향후 성분명 처방이나 대체 조제의 빌미가 될 수 있다.
같은 성분의 약이라도 약효에 차이가 나고, 생동성의 안전성을 보장할 시스템도 아직 미비하다는 의료계의 지적은 반영이 안되고 있는 것.
리베이트보다 더 큰 문제는 언론매체가 이 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이고, 이런 시각이 국민 여론을 어떻게 끌고 가는가 하는 것이다.
언론의 리베이트를 바라보는 시각이 문제를 더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