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사망원인 1위가 심뇌혈관 질환입니다. 심뇌혈관 질환의 가장 큰 위험요인인 이상지질혈증을 경증질환으로 포함시킨다는 것이 말이나 되는 일입니까."
최근 학회의 지속되는 지적에도 불구하고 복지부가 이상지질혈증을 경증질환에 포함시키자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보험재정 절감과 1차 의료기관 활성화도 중요하지만 이 모든 게 환자의 건강보다 더 중요한 가치를 가질 수는 없다는 지적이다.
이문규 학회 이사장(성균관의대)은 25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환자 본인부담금을 높여 환자의 접근성을 제한하는 것은 단기 성과를 기대하는 정책에 불과하다"고 꼬집었다.
당장 눈 앞에 보이는 증상으로 질병의 경·중을 구별하는 것은 너무나 얄팍한 사고방식이라는 것이다.
그는 이어 "이러한 정책은 국민 건강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며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지 않은 이같은 정책은 큰 부작용을 가져올 것"이라고 경고했다.
강제적으로 환자를 나누기 보다는 자연스레 분류될 수 있는 환경을 갖추는 것이 시급하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1차 의료기관과 대학병원의 역할을 분명히 규정하고 협진할 수 있는 의료체계를 갖추면 정부가 바라는대로 저절로 환자 분류가 이뤄진다는 것이다.
이 이사장은 "1차 의료기관이 환자를 종합적으로 관찰한 뒤 생활습관 개선과 교육을 진행하고, 그래도 개선되지 않는 환자가 있다면 대학병원으로 의뢰하는 구조가 가장 이상적인 체계"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당장 눈앞의 성과 보다는 이러한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진정한 의료전달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주문했다.
특히 그는 이러한 지적을 전혀 받아들이지 않는 복지부에 대해 강한 불만을 드러냈다.
또한 전문가 단체로서 더이상 할 수 있는 일이 없다는 것에 대한 회의감도 표출했다.
이문규 이사장은 "최소한 가족성 고지혈증과 개원가에서 2·3제 요법으로도 치료되지 않는 환자 만큼은 예외로 분류해줘야 한다고 호소했지만 전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며 "이제 학회가 할 수 있는 일이 없는 것 같다"고 털어놨다.
그는 이어 "결국 제도 시행이 임박한 이상 이제는 나타나는 부작용을 수습하며 가는 일 밖에 남지 않았다"며 "정부가 하루 빨리 문제를 깨닫고 고쳐나가기를 바랄 뿐"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