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뭐래도 의료는 공공재 성격이 짙다. 의료산업이 발전하더라도 이는 바뀌지 않는 사실이다."
대한개원의협의회 한 임원의 말이다. 그는 최근 의료가 상업성에 물들고 있다며 특히 비급여 진료과 개원가에서 이 같은 경향이 짙어지고 있다고 했다.
그의 우려는 기우에 지나지 않는다. 실제로 개원가에는 보다 많은 환자를 유치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이 도입되면서 상업성에 물들고 있다.
얼마 전 기사성 광고를 주제로한 심포지움에서 의료계 관계자는 "병원에선 가만히 있어도 광고 관련 업체에서 먼저 연락이 와서 하게되는 경우가 많다"고 하소연 했다.
의료시장은 광고, 마케팅 업체의 좋은 먹잇감이 됐다는 얘기다.
최근 시장의 범주를 계속해서 확대해가고 있는 소셜커머스도 예외는 아니다.
경쟁이 치열한 미용성형 개원가에서 소셜커머스를 통해 반값 레이저 시술 쿠폰을 발행해 환자를 유치하는 것은 더 이상 새로운 일이 아니다.
얼마 전 보건복지부가 이 같은 행위에 대해 의료법 위반이라고 유권해석을 내렸음에도 불구하고 소셜커머스를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하는 의료기관은 사라지지 않았다.
이는 라식 안과에서도 마찬가지. 과거 200만원을 호가했던 라식 수술비용이 일부 의료기관의 가격 덤핑으로 급기야 100만원 이하까지 낮아졌다.
게다가 얼마 전 모 사설 단체에서 일부 안과의원에 ‘라식 인증서’를 발급해 검증받은 의료기관인 것처럼 홍보에 나섰다.
오죽하면 안과의사회가 자체적으로 라식, 라섹 인증서를 발급하기에 이르렀을까.
물론 개원시장에 경쟁이 과열되고 덤핑이 심각해진 상황에서 돌파구를 찾다보니 어쩔 수 없는 선택일 수 있다.
그러나 의료는 생명과 직결돼 있다. 꼭 생명까지는 아니더라도 분명 건강에 위해를 가할 수 있는 여지가 큰 만큼 가볍게 여겨진다면 문제가 될 수 있다.
이제 개원의들은 과열된 개원시장에서 병원 운영을 유지하는 것 이외에 의료의 공공성을 어떻게 지켜나갈 것인지 고민해야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