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바이오 신약 개발의 토대가 되는 인공 항체를 개발해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 항체는 기존 인간 유래 항체 가격에 100분의 1에 불과한데다 개발이 훨씬 쉽다는 점에서 5년내 가시적인 성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
KAIST 생명과학과 김학성 교수는 최근 항체가 아닌 단백질을 통해 대량생산이 가능한 인공 항체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13일 밝혔다.
연구진에 따르면 이 인공항체는 항원과의 결합력과 생산성이 용이한 이상적인 단백질로, 현재 치료제의 원료나 진단·분석용으로 사용중인 인간 유래 항체를 완벽하게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이 항체는 대장균에서 대량생산이 가능해 현재보다 100분의 1 수준의 싼 가격으로 생산할 수 있으며 모듈 구조라는 점에서 목적에 따라 자유롭게 설계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특히 단백질 신약을 개발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여겨지는 항원과의 결합력을 쉽게 조절할 수 있어 치료효과가 높고 부작용이 낮은 것이 특징이다.
이에 따라 연구진은 이 항체를 통해 우리나라가 192조원에 이르는 단백질 의약품 분야를 주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 의약품 원료로 사용되고 있는 기존 항체는 동물세포 배양을 포함해 복잡한 생산 공정이 필요해 1mg에 100만원에 달할 정도로 가격이 매우 비싸다.
또한 대부분의 항체는 이미 해외 선진국의 특허로 등록돼 있어 비싼 로열티를 지불해야 한다.
이 때문에 우리나라를 포함한 많은 국가들은 이미 특허가 만료된 항체 의약품 복제약인 바이오 시밀러에만 집중하고 있으며 단백질 등 바이오 신약은 아직 엄두조차 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가운데 순수 국내 기술로 바이오 신약의 토대라 할 수 있는 인공 항체가 나왔다는 점에서 산업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것이 연구진의 설명이다.
김학성 교수는 "기존 항체는 항원과 결합하는 면적이 제한적이라 구조 설계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며 "이러한 단점을 보완한 인공항체는 현재 항체를 충분히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이어 "인공항체 단백질 골격과 단백질 설계 기술은 생명공학 및 의학 분야에서 치료, 진단, 분석용 등으로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다"며 "향후 5년 안에 순수 국내 기술의 단백질 신약이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그 학문적 성과를 인정받아 세계적인 학술지인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