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중소병원협회는 때 아닌 중소병원, 거점병원, 취약지병원 등 명칭에 대한 정의 작업으로 분주하다.
28일 중소병원협회 백성길 회장은 "협회 산하 미래연구회를 통해 중소병원에 대한 정의를 마련하는데 집중하고 있다"면서 "이와 관련해 다수의 국회의원을 직접 만나 함께 논의하고 있으며 긍정적인 성과를 기대해 볼 만하다"고 말했다.
중소병원협회가 갑자기 중소병원에 대한 정의를 내리는 데 몰두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백 회장은 "중소병원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없다보니 정책적인 지원도 어렵다. 지금은 대기업도 아니고 중소기업도 아닌 모호한 상태다. 정책적인 지원을 요구하려면 해당 기관의 개념을 규정하는 게 우선"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최근 복지부가 진행 중인 중소병원 선진화 TF운영 회의에서도 화두는 중소병원이라는 명칭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는 작업.
중소병원협회는 선진화 TF운영회의에서 중소병원 이외에도, 거점병원, 취약지병원 등 정의 마련의 중요성에 대해 어필하고 있다.
중소병원협회 김태운 미래위원회 위원장(혜원성모병원)은 "해당 기관에 대한 명확한 개념이 잡혀 있어야 그에 따른 정책이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작업"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우리나라는 거점병원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없다보니 '치매노인 거점병원' '신종플루 거점병원' '분만취약지 거점병원' 등 용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그 실체는 불분명하다는 게 그의 설명.
해당 의료기관에 대한 정의가 불분명한 상태에서 제도적인 혜택을 제안조차할 수 없다는 얘기다.
그는 "거점병원이나 취약지병원 등은 공공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정의가 없다보니 제대로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다"면서 "앞으로 정의가 마련되면 제도적인 혜택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