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 관절센터 정진엽, 박문석, 성기혁(명지병원) 팀은 '무릎관절이 잘 펴지지 않고 까치발을 하는 경직성 양측 뇌성마비 환자'에게 다단계 수술보다 일단계 다수준 수술 결과가 우수하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경직성 양측 뇌성마비 환자에게 보행 자세 개선을 위해 정형외과 수술을 시행할 때, 과거 수년에 걸쳐 여러 번 수술하는 방법인 '다단계 수술'보다 일정 연령이 된 후 한 번에 여러 가지 수술을 동시 시행하는 '일단계 다수준 수술'이 더 우수하다는 연구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뇌성마비 유병률 꾸준히 증가…보행 장애 겪는 경직성 뇌성마비는 수술이 해결책
연구팀에 따르면 미성숙한 뇌가 원인인 뇌성마비는 소아에게 영구적인 운동장애를 남길 수 있는 비진행성 질환으로 소아 1000명 당 3.2명꼴로 발생(2010년 통계)하고 있으며, 이는 2004년 집계된 유병률(1000명 당 2.2명) 이후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뇌성마비의 약 70~80%를 차지하는 경직성 뇌성마비의 경우에는 뇌 병변으로 비롯한 근육의 단축 및 불균형, 뼈의 변형, 탈구 등을 동반하는데, 이로 인해 경직성 뇌성마비 환자들은 무릎이 굽어 있고 까치발을 하는 등 심각한 보행 장애를 겪는다.
이런 보행 장애는 신체의 균형 발달과 성장기 성격 형성 등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보행 능력 향상을 위한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하지만, 여러 보존적 치료로는 증상을 개선시키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과거 다단계 수술보다 일단계 다수준 수술이 더 ‘우수’ 10년 추시로 효과 입증
분당서울대병원 정진엽, 박문석, 성기혁(명지병원) 교수팀은 경직성 양측 마비로 원위 슬괵근 연장술을 포함, 일단계 다수준 수술을 받은 환아들을 10년 이상 추시한 결과, 보행 시 처음으로 땅에 발이 닫는 시기(초기 접지기)에 평균 슬관절 굴곡이 의미 있게 감소했다.
또 보행 기능을 나타내는 보행 기능 점수(GDI)는 수술 전 69점에서 수술 후 1년 째 78점으로 향상되고, 수술 후 10년 째는 82점으로 나타나 보행 기능이크게 개선됐다.
지금까지 경직성 뇌성마비 환자들을 위한 수술 방법은 수년에 걸쳐 매해 1, 2차례씩 반복적으로 시행하는 '다단계 수술'이 일반적이었다.
첫해 까치발을 해결하기 위해 아킬레스 건 연장술을 시작으로 구부리고 걷는 현상이 발생하면 슬괵근 연장술을 해야 했고, 이후 환자가 기립하면서 고관절 굴곡근 구축으로 인해 몸의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리는 상태가 되면 경우에 따라 고관절 굴곡근 연장술을 다시 받아야했다.
이에 따라 환자는 최소 2-3단계의 수술을 거치는 동안 '생일 증후군(Birthday Syndrome)'이라는 말이 생겨날 정도로 유년 시간의 대부분을 병원에서 보내야 했다.
분당서울대병원 관절센터 정진엽 교수는 "보행 기능이 수술후 10년 경과 시점에서 80점을 넘은 것은, 통증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많은 정형외과적 수술 중에서도 드물게 기능면에서 우수한 개선 정도를 보인 것"이라 전했다.
이어 박문석 교수는 "일단계 다수준 수술은 환자의 보행이 성숙되는 5~7세 사이에 단 한 번의 수술로 보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경직성 뇌성마비 환자 치료에 대한 부담을 많이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SCI논문인 'Gait & Posture 2012'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