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형수술 부작용 환자가 5년새 3배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피해 환자 10명 중 3명은 수술 후 부작용에 대한 설명을 제대로 듣지 못했다.
새누리당 김현숙 의원(보건복지위원회)은 한국소비자원이 제출한 '성형수술 부작용 피해구제 접수현황' 분석 결과를 18일 공개했다.
결과를 보면 성형수술 후 부작용이 생겨 피해를 입었다고 구제를 요청한 건수가 2008년 42건에서 2012년 130건으로 3배 이상 증가했다. 올해 상반기만 해도 71건이나 됐다.
부작용 환자 10명 중 8명은 여성이었고, 절반 이상은 20~30대였다.
성형수술 부작용은 쌍꺼풀 수술(중검술)이 74건으로 가장 많았고 코수술(융비술) 68건, 지방흡입술 42건, 안면윤곽성형 35건 순으로 나타났다.
성형수술 부위별 접수 현황(2008년~2013년 6월)
부작용 유형은 좌우 비대칭이 70건으로 1위였고, 흉터가 68건, 염증(감염) 56건, 객관적인 효과미흡 39건 순이었다.
특히 성형수술 부작용 환자 중 의사의 수술전 수술방법이나 수술후 상태, 부작용 발생 가능성 등에 대한 설명을 들은 환자는 97명으로 전체의 15%에 불과한 수치다.
설명이 부족하거나 설명하지 않았다는 사람은 183명으로 전체의 약 30%를 차지했다.
김현숙 의원은 "성형수술 부작용은 소비자원 신고보다 훨씬 더 많을 것"이라며 "병원 간 경쟁이 심화돼 저가 마케팅이 활발해지는 추세 때문에 부작용이 늘고 있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심한 부작용이 속출하는 의료기관에 대해서는 관리 감독하거나 명단을 공개하는 등의 방안을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