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6월, 전 국민을 공포로 몰아넣은 메르스 사태는 한국 의료의 민낯을 그대로 드러내며 의료계 고질적인 문제점을 수면 위로 부각시켰다.
그 결과, 지난 여름 메르스와 사투를 벌이던 병원들은 이제 병원 내 감염관리 강화로 분주하다.
당장 복지부는 '국가감염병예방관리선진화위원회'를 구축해 중장기 계획을 마련, 추진 중이다.
그 일환으로 메르스 확산의 주범이었던 병문안 문화를 개선하겠다며 병원협회, 환자단체연합회, 소비자시민모임 등과 공통으로 대대적인 캠페인에 나섰다.
이어 메르스 확산의 또 다른 주범 중 하나인 응급실 과밀화를 최소화하고자 경증환자의 응급실 진료비를 대폭 인상하는 방안도 함께 추진 중이다.
그동안 바쁘다는 핑계로 감염관리에 소홀했던 병원계도 각 의료기관별로 감염관리 강화 대책을 내놓고 있다.
대부분의 대학병원은 메르스 사태 당시부터 도입한 병문안 자제 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며 이밖에도 음압병실을 확충하거나 음압장치를 도입하는 등 감염관리 시설을 대폭 강화했다.
실제로 의료계 일각에선 "메르스 사태를 계기로 그동안 엄두도 낼 수 없었던 의료계 고질적인 병폐를 해결할 수 있었으면 한다"는 기대감도 높다.
비록 소는 잃었지만 외양간이 확실하게 고치는 계기가 되도록 하자는 얘기다.
한편, 메르스가 휩쓸고 간 병원들은 여전히 경영난으로 고충을 겪고 있다. 정부가 메르스 피해 보상금을 일부 지원하긴 했지만 전체 손실액 중 일부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감염관리 시설 및 시스템을 개선하면서 비용 지출이 불가피해 병원 운영에는 부담으로 작용되고 있다.
특히 지난 6월, 메르스 환자 경유병원이 된 의료기관은 자체적으로 일시적으로 병원 문을 닫는 등 감염확산 차단에 나서면서 경영 손실이 컸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메르스 당시 병원 내원 자체를 꺼리던 환자들이 다시 돌아왔다는 점이다. 메르스 사태 당시 뚝 끊겼던 검진환자가 최근 몰리면서 우려했던 건강검진 대란이 현실로 나타났다.
또한 자신의 안위를 뒤로한 채 메르스와 사투를 벌인 의료진에 대한 신뢰와 존경심이 확산된 것도 나름의 의미가 있다.
이처럼 2015년 여름, 돌연 대한민국을 찾아온 '메르스'는 한동안 의료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