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불량) 제품 팔아먹고 돈 받아먹나. 어디서 썼던 약을 팔고 그러나."
병의원 구매 담당자에게 걸려오는 민원전화 때문에 A도매업체는 골머리를 앓고 있다. 병의원의 민원 전화는 국내 중소제약사 D제약에서 생산하는 소독제 등의 포장 불량때문이다.
유통기한이 언제까지인지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인쇄가 불량하고 포장이 뜯어져 내용물이 쏟아져 나와 있는 일이 다반사다. 약을 뜯어본 병원들의 황당함은 약을 직접적으로 판매한 A도매업체로 고스란히 돌아온다.
A도매업체 영업사원은 국내 중소제약사 D제약의 제품을 판매할 때면 병의원으로부터 민원 전화를 받는 게 일상이 됐다.
D제약은 지난해 기준 매출 100억원 미만의 중소제약사로서 마취제, 소독제 등을 주로 생산하고 있다.
이 영업사원은 "D제약으로부터 받은 수량의 10% 정도가 항상 불량이다. 많은 때는 15%까지 포장이 불량"이라며 "사람이 하는 일이다 보니 포장 불량이 나올 수도 있지만 1~2% 수준이 아니라 박스당 1~2개씩은 꼭 불량이 나오니 해도해도 너무하다"고 토로했다.
불량유형도 제각각이다. 박스에 나와있는 제조일자와 약 포장에 쓰인 유효기간도 다르고, 약 포장이 벌어져 내용물이 나와 있기도 하다.
실제 서울 S병원 관계자는 "소독제 랜딩을 위해 샘플을 먼저 받기로 하고 박스를 뜯었는데 포장이 터져 약이 흘러내려 있고 난리가 났더라"라며 "바로 이 회사 제품을 못 쓰겠다고 도매업체에 항의했다"고 말했다.
A도매업체 관계자는 "터질 위험이 있는 약이라면 포장 박스에 '몇 단 이상 쌓지 말라' 같은 경고문이나 '취급주의'라는 스티커라도 붙어 있어야 하는데 전혀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D제약사는 추적 관리가 가능한 일련번호 들어가는 제품만 철저히 관리하고 소독제 제조와 유통 등에는 소홀한 듯 하다"고 추측했다.
A업체는 올해부터 D제약 제품에 대해서는 아예 포장 불량 여부를 자체적으로 검수하고 있다. 직원 5명이 붙어 반나절을 검수에만 시간을 쏟고 있다.
이 관계자는 "포장 불량이 너무 많다보니 병의원 민원으로 이어져 아예 D제약 제품은 불량이 있는지 확인부터 하고 납품하고 있다"며 "1월부터 자체 검수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포장 불량은 병의원 민원을 넘어 거래 파기로까지 이어져 1~7월 매출이 지난해 대비 20%나 떨어졌다"며 "요즘은 병의원에 D제약 제품이 아닌 다른 회사 제품을 추천하는 영업사원도 있다더라"고 털어놨다.
의약품 유통 불량을 정부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서울 B도매업체 관계자는 "제약사의 포장 불량은 도매업체에 대한 신뢰로 이어진다"며 "제약사에 포장 불량 문제를 제기하면 반품하라는 답변밖에 들을 수 없다. 제약사 입장에서는 작은 손해에 불과하기 때문"이라고 꼬집었다.
또 "정부 차원에서 불량 의약품을 회수 및 폐기하는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지만 처벌이 솜방망이 수준"이라며 "제약사는 제품 공정 과정에서 검수를 철저히 하고 정부도 강력한 처벌 방안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잇따른 포장 불량 문제에 대해 D제약사는 인지조차 하고 있지 못한 상황이었다.
D제약 관계자는 "포장 불량 민원을 직접적으로 받은 적은 없는데 다른 곳으로 민원이 들어왔을 수도 있기 때문에 확인하고 있다"며 "포장 불량이 왜 나왔는지가 중요하다. 운송상 문제인지, 제조상 문제인지 관련 부서와 소위원회를 꾸려 조사를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원인 파악과 함께 (포장 불량 문제는) 앞으로 재발해서는 안되기 때문에 앞으로 어떤 게 필요한지 등에 대해 전반적으로 논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