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통증학회, 37개 병원 251명 대상 심층 설문조사
|3차 병원조차 진단까지 1년 이상…"국가적 지원 시급"
이인복 기자
기사입력: 2019-11-18 05:45:55
가
URL복사
복합부위통증증후군(CRPS) 환자 대부분이 국가 지원조차 받지 못한 채 향정신성의약품 등에 의존하며 자살까지 이어지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특히 치료 기간이 10년 이상인 경우가 3분의 1이 넘는다는 점에서 사회적 배려가 시급하지만 장애 등급도 불가능한 상태라는 점에서 국가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주장이다.
대한통증학회는 17일 그랜드힐튼호텔에서 추계학술대회를 개최하고 37개 병원에서 251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심층 설문 결과를 발표했다.
그 결과 상당수 환자들은 일상 생활이 불가능할 정도로 사회에서 고립돼 있었다. 직장을 잃는 것은 물론 지원이 전부해 고통스러운 일상을 버텨가고 있었던 것.
실제로 251명의 환자 중 63.2%는 타인의 도움이 없으면 생활이 불가능한 상황에 놓여 있었다. 또한 통증 점수는 70% 이상이 7에서 10까지로 사실상 중증 외상과 같은 수준까지 이르고 있었다.
이로 인해 이들의 건강 상태는 심각하게 위험한 상황에 있었다. 실제 평균 수면시간을 조사하자 평균 수면시간은 4.9시간에 불과했고 절반 이상이 4시간 이하로 수면을 취하고 있었다.
이렇듯 일상 생활이 붕괴되면서 경제적 상황도 매우 심각했다. 응답자의 84%가 경제적 어려움이 있다고 답했고 마찬가지로 84%는 사회활동으로 인한 수입이 전무하다는 응답을 내놨다.
그렇다면 이들은 어떻게 생활을 꾸려가고 있었을까. 이들은 42%가 가족들에게 의지해 살고 있다고 답했고 15%는 대출로 버티고 있다고 했으며 모아둔 돈을 쓰고 있다는 환자가 13%를 차지했다.
이에 반해 국가 지원을 받고 있다는 환자는 9%에 불과했고 산재보험 등이 17%로 뒤를 이었다.
그러한 면에서 이들은 대부분이 향정신성의약품 등에 기대며 통증을 버텨가고 있었다. 정신과를 찾아 마약성 진통제 등으로 겨우 버티고 있다는 의미가 된다.
환자 중 약물 복용 실태를 조사하자 정신과 약물과 마약성 진통제를 모두 복용하고 있다는 환자가 56%에 달했다.
이외 마약성 진통제를 먹고 있다는 환자가 25%, 정신과 약물을 복용중인 환자들이 10%로 사실상 10명 중 9명은 독한 약에 의지하고 있다는 의미가 된다.
대한통증학회 임윤희 홍보이사(인제의대)는 "설문 결과 대부분의 환자들이 질환 자체로도 큰 고통을 겪고 있을 뿐 아니라 사회 경제적으로도 매우 열악한 상황에 놓여있었다"며 "특히 신체적 문제 뿐만 아니라 정신적 문제로 자살 충동 등까지 일고 있다는 것이 가장 심각한 문제"라고 말했다.
특히 통증학회는 최근 대법원에서 CRPS 환자의 통증을 신체적 장애로 인정한 것을 중요한 계기로 삼고 있다.
이미 국제질병분류체계(ICD-11)에서 CRPS 자체를 한 부분으로 보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한 치료에 국가적 지원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통증학회 전영훈 회장은 "만성 통증의 경우 계속 방치해 신경 이상이 중추까지 확산되면 이를 되돌리기가 불가능해진다"며 "그 전에 통증 질환의 악화를 막기 위한 방안이 추진돼야 한다는 의미"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실제로 상당수 환자들이 항우울제 등 정신과 약물을 복용하고 있고 정신과 진료를 동시에 받고 있는 경우가 많다"며 "이번 설문을 바탕으로 CRPS가 최소한 장애로 인정받게 되기를 간절히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