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경영에 있어 일정 부분 도움이 됐던 장례식장이 수요에 비해 공급이 크게 늘면서 수익모델로 그 가치가 떨어지고 있다.
4일 병원가와 복지부에 따르면 장례식장은 병원과 전문업체를 포함 04년 말 596개소로 01년 465개소 대비 131개소(22%) 늘었으며 빈소 기준으로는 04년 3,027개소로 동기간 29% 증가한데 반해 사망자수는 00~03년 24만명 수준으로 한마디로 빈 빈소만 늘었다.
일일 평균 사망자수는 670명, 사흘 안치된다고 기준할 때 빈소수는 2,000개소로 운영율은 65% 선이며 최대 가동할 수 있는 안치능력이 4,735명 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운영이 잘되는 일부를 제외하고는 50%대다.
이에따라 병원은 직영하면서 수익을 발생시키는 것 보다 임대가 유리하다고 판단, 운영형태를 전환하면서 임대운영하는 병원이 01년 242곳에서 04년 306곳으로 늘었다.
서울의 H병원 관계자는 “직영보다 더 안정적이라고 판단 02년 임대로 전환했다” 며 “일부 대형병원을 제외하고는 직영으로 수익성 담보가 쉽지 않을 것” 이라고 밝혔다.
전문 장례식장이 크게 늘고 있는 경기도의 B병원 관계자도 “가동률이 떨어지면서 장례식장은 수익면에서 도움이 되지 않지만 대안없이 폐쇄할 수도 없는 상황” 이라며 “인근 신축병원이 추가로 경쟁에 가세하면 적자로 돌아서지 않을까 걱정이다”고 말했다.
이같은 과잉공급과 지역주민과의 잦은 마찰에도 불구, 병원급 의료기관의 장례식장 신축과 증축이 계속되고 있어 추가적인 경쟁이 불가피한 실정으로 수익성 담보는 더욱 어려워질 전망이다.
경남의 J병원등 현재도 전국적으로 6~7개 병원이 장례식장 신·증축관련 주민과 마찰을 빚고 있으며 마찰을 해소한 이후라도 장례식장 운영를 통한 수익성 담보에 대해서는 의문일 수 밖에 없다.
컨설팅업계 관계자는 “병상수를 일정정도 갖춘 병원의 경우 시장조사없이 운영을 고려하는 경우가 많지만 당장은 공급이 크게 늘어 부대사업이나 임대로 수입을 보장하기 힘들다” 며 “우선 현황분석을 반드시 선행 해줄 것”을 당부했다.
이에대해 복지부 관계자는 “지역·계절별 특성에 따라 사망자가 큰 차이를 나타낼 수 있는 만큼 현재 장례식장이 과잉공급됐는지에 대해서는 분석이 필요하다” 며 “경쟁을 유발, 서비스를 개선한다는 점에서는 장점이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