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적십자사가 운영하는 혈액사업을 전문기관설립 등을 통해 정부가 주관해서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건강세상네트워크가 16일 개최한 ‘혈액관리제도 개선을 위한 토론회’에서 강주성 대표는 “혈액관리 헌혈자와 수혈자를 중심에 둔 법개정이 필요하다”며 “제대혈까지 혈액의 범위로 확대하는 것을 비롯해 혈액사업을 국가 관리하에 두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강 대표는 또 성분채집백혈구를 혈액제제의 범주에 포함시키고 전담 부서를 신설하며, 헌혈증 제도를 폐지할 것을 주장했다.
의사 출신으로 적십자사에서 9년간 종사한 바 있는 김명희씨는 “AIDS 양성 반응이 나온 혈액이 유통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보건원의 심사결과만 기다리는 적십자사의 안이한 태도가 결국 혈액관리의 문제를 만들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혈액수가가 결코 외국 수준에 비해 낮은 것이 아니며 적십자사는 혈액 유통으로 얻은 수익을 전국에 혈액원을 짓는데 썼다”며 “혈액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해 정부의 주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영자 보건사회연구원 박사는 “국가가 ‘혈액관리원’과 같은 전문 기관을 설치해 모니터링이나 검사 등을 실시해야한다”고 말했다.
대한의사협회의 권용진 사회참여이사는 “적십자사 주도의 정책을 국가나 의료기관에 위임하는 논의도 필요하다”고 밝히고, “혈액원 내의 의사들에게 지휘와 감독권을 부여하고 급여를 현실화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어 한국백혈병환우회 권성기 사무국장과 탁효상 인터넷 헌혈자 동호회 대표는 구체적인 사례를 가지고 정부와 적십자사의 잘못된 정책뿐 아니라 의료계의 문제점들을 꼬집었다.
한편 이날 토론에는 보건복지부 보건자원과 J 사무관이 참석할 예정이었나 토론회 하루 전날 갑작스런 불참소식을 전해 정부의 혈액관리 대책을 논의하려는 취지를 퇴색케 했다.
강주성 대표는 “토론회를 일주일 미루고 게다가 시간이 난다는 요일까지 맞춰줬는데 결국 불참했다”며 불만을 터뜨렸다.
그는 이어 “300만 헌혈자를 관리하는 단 1명의 유일한 사무관마저 불참한 걸 보니 우리나라의 혈액관리 대책이 얼마나 허술한지를 보여주는 반증”이라며 목소리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