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의원 1곳당 급여비 매출액 규모가 가장 큰 곳은 충남, 반대로 가장 적은 곳은 서울로 나타났다.
기관당 진료비 매출액은 서울, 부산, 광주 등 대도시일수록 상대적으로 규모가 적은 특징을 보였다.
3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연도별 요양급여실적 및 시군구별 의원현황에 따르면 의원 기관당 매출액은 평균 2387만원으로, 지역별로 최대 1.5배에 달하는 편차를 보였다.
일단 의원 기관당 매출액이 가장 많았던 지역은 충청도.
지난해 충남소재 의원들의 기관당 매출액은 3억4932만원, 충청소재 의원 기관당 매출액은 3억4631만원으로 조사됐다. 월 평균 각각2911만원, 2886만원의 매출을 기록한 셈이다.
이어 경남이 월 평균 2860만원, 강원 2789만원, 전북 2764만원, 경북 2707만원 등의 기관당 매출을 보이며 뒤를 이었으며 울산(2649만원), 전남(2642만원), 제주(2605만원), 경기(2465만원), 인천(2448만원) 등도 평균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반면 서울, 대전, 대구, 광주, 부산 등 대도시의 경우, 여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매출규모를 보였다.
이들 지역의 지난해 의원 1곳당 급여비 월 매출액은 대전 2328만원, 대구 2296만원, 광주 2285만원, 부산 2235만원 등.
특히 전국 최고수준의 의원 현황을 자랑하는 서울의 경우, 기관당 매출액은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최저인 1952만원에 그쳐 묘한 대조를 이뤘다.
이 같이 지역별로 기관당 매출액 편차가 극심하게 나타난데는 의원 밀집도 즉, 지역내 경쟁률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 등 대도시에서 기관당 매출액이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는 점이 이를 방증하는 결과. 뒤집어보면 대도시 일수록 의원간 빈익빈 부익부 현상도 심하다는 얘기다.
아울러 이들 도시의 경우 성형외과 등 급여 의존도가 낮은 진료과목이 타 시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다는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컨설팅업계 한 관계자는 "서울과 대도시의 경우 지역내 매출액 차이도 타 시도에 비해 현저하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인다"면서 "다양한 진료과목이 공존, 경쟁하고 있다는 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