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약, 소화제, 파스류 등 일반의약품의 판매가격이 지역 약국별로 최대 5배나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사실은 한나라당 임두성 의원이 보건복지가족부로부터 제출받은 '서울시 다소비 일반의약품 판매가 조사결과(2007년 하반기)'를 분석한 결과에서 확인됐다.
임 의원에 따르면 다소비 의약품 50품목에 대한 최저가격과 최고가격을 비교한 결과, 최고가와 최저가의 차이가 2배 이상 나는 품목이 무려 21개로 전체의 42%를 차지했다.
품목별로는 솔표우황청심환이 최저가와 최고가의 편차가 5배로 가격차가 가장 컸으며, 소화제인 닥터베아제와 쌍화탕도 가격편차가 각각 3.3배에 달했다.
이는 의약품 정보공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
실제 복지부는 매년 대한약사회로부터 제출받은 생산실적 상위 500위권 내 의약품 중 약효군별 대표품목, 소비자대상 광고품목, 소비자 지명도 등을 고려해 다소비 의약품 50품목을 선정해 각 시·군·구별로 판매가격을 조사, 이를 각 보건소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임두성 의원이 2008년 7월 1일 현재 서울시내 각 구별 보건소 홈페이지를 조사한 결과, 전체 25개 구 가운데 13개(52%) 구에서만 조사결과를 공개했으며, 그 시기도 보건소마다 제각각인 것으로 드러났다.
임 의원은 "대형마트나 동네슈퍼에서 가격과 품질을 꼼꼼히 따져서 구입하는 일반 소비제품과는 달리, 의약품 구매의 경우는 정보공개제도가 없다면 지역별 가격차이도 제대로 알 수 없을 만큼 소비자에게 절대적으로 불리하다"고 지적했다.
임 의원은 이어 "의약품 가격정보 공개의 폭을 최대한 넓혀 합리적인 의약품 가격 경쟁을 유도함과 동시에 국민이 지불하는 보건의료 비용을 줄여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