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수준 등을 고려한 사회계급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서울 강남구 주민들의 사망률이, 전국에서 사망률이 가장 낮은 전북 신안군의 절반도 안 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지역의 의사 수가 적은 지역일 수록 사망률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사망률은 연령별 인구구조의 차이를 감안한 ‘연령 표준화 사망률’에 따른 것이다.
이같은 사실은 국군의무사령부 예방의학과 윤태호 교수가 보건행정학회지 제13권 4호에 발표한 ‘사회계급의 분포와 사망률과의 연관성’이란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윤태호 교수는 이 연구에서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이용해 각 지역의 사회계급을 분류하고 이것은 지역별 전체 연령군에 대한 연령 표준화 사망률과 비교했다.
이 결과 하위 사회계급의 인구비율이 가장 낮은 지역은 서울시 강남구로 18.9%에 불과했으며, 하위 사회계급이 가장 많은 곳은 85.7%인 전라북도 임실군이었다.
특히 이같은 사회계급 분포는 연령별 인구구조를 감안한 연령표준화 사망률과 뚜렷한 상관관계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망률이 전국에서 가장 낮은 지역 역시 서울시 강남구로 인구 십만명당 385명이었으며 가장 높은 곳은 전라남도 신안군으로서 십만명당 849명에 달해, 2.2배의 차이를 보였다.
인구의 연령분포를 감안했음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 광역시 단위의 사망률이 낮았으며 강원도, 전북, 전남 등이 특히 높은 사망률을 보였다.
다만 이같은 상관 관계에서 벗어나는 지역은 제주도, 울산시, 태백시, 정선군 등으로서 제주도는 하위계급 비율이 높았음에도 사망률은 낮았고, 울산과 태백 등은 사회계급에 비해 사망률이 높았는데 이는 공업도시거나 탄광지역이라는 점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단위 인구당 의사수가 적은 지역일 수록 표준화 사망률 역시 낮아져, 보건의료서비스의 수준이 주민의 건강에 뚜렷한 영향을 미침을 반영했다.
윤 교수는 이 같은 결과에 대해 “선진 외국과 마찬가지로 한국에서도 사회의 불평등 구조가 건강수준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면서 “향후 보건자원의 배분시 이같은 지역별 사망률 차이를 고려하는 것이 건강 불평등을 줄이는 한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