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보건의료환경의 문제점으로 의원과 약국의 약물사용에 관한 커뮤니케이션은 부족한 데 반해 의원·약국간의 담합은 늘어 기형적인 구조가 형성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숙명여대 약학대 신현택 교수는 24일 녹색소비자연대 주최 ‘의약품 소비자안전 강화방안 세미나’에서 ‘의약품 안전사용을 위한 정책과제와 소비자정보 제공방안’을 주제로 국내 약물소비형태의 문제점에 대해 발표했다.
신현택 교수는 "의약분업 상태의 국내 약물소비 문제점으로 국내 전문의약품의 소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의약분업의 가장 긴요한 요소인 최종 투약단계에서의 약사의 처방검토가 사장되고 있다"고 밝혔다.
신 교수는 “이는 의사의 과잉처방 등 부적절한 약물사용에 대해 약사가 의사와의 협력을 통한 교정이 미흡한 것에 기인한다”고 지적했다.
이와 더불어 의약분업 이후 대부분의 약국들이 처방전 수용증대를 위해 의료기관과 가까운 장소로 이전하거나 문전약국을 개설, 다양한 방법을 통해 담합관계를 형성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로인해 처방조제의 양적 증대에 치중하게 된 반면 약제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는 노력은 소홀히 하게 됐으며 의·약간 건전한 상호관계를 도외시한 이러한 담합현상의 성행은 오히려 의약분업의 실시목적으로 크게 손상시킨다고 밝혔다.
담합현상과 함께 많은 약국들이 처방약만을 수용하거나 아예 일반의약품만을 취급하는 약국으로 변모, 기형적 약국구조를 보이고 있다고 신 교수는 주장했다.
이어 신현택 교수는 “현재 약사의 처방검토와 환자 알권리 확보와 약물사용의 효과성을 보장하기 위한 복약지도가 의무화하고 있지만 의사들의 처방검토 미협조와 약국의 여건미비로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제도 개선을 위해 신 교수는 “약물사용의 안전성 제고를 위해 약제서비스의 질 보장제도인 우수약국실무(Good Pharmacy Practice, GPP)를 도입해 의료기관 및 약국 등 모든 요양기관에 적용해야 하며 의약품에 대한 소비자정보제공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