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관리등급이 낮은 병원일수록 1500만원의 저임금에 40시간 이상의 과도한 노동에 시달면서 이직률이 높아지는 악순환을 보이고 있어 이에 대한 격차해소가 시급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병원간호사회는 최근 '중소병원 간호활성화를 위한 현황조사 연구'를 통해 이같이 주장하고 중소병원 간호사들의 근무조건 개선을 위한 병원, 정부의 적극적인 대책마련을 주문했다.
10일 보고서에 따르면 중소병원 간호사들의 임금격차는 병원별로 2배에 달할 만큼 큰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조사대상 116개 병원 중 가장 많은 연봉을 주는 종합병원은 3000만원에 달한 반면, 최소연봉은 1500만원에 불과했던 것.
간호관리등급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었다. 1등급인 병원들은 최소 1950만원의 연봉을 주고 있었지만 5등급 병원들은 1500만원 밖에 되지 않았다.
하지만 주당 노동시간은 법정근로시간을 한참 웃돌고 있었다. 법정근로시간인 40시간을 지키고 있는 종합병원은 전체의 34.8%에 불과했던 것.
특히 간호관리등급 6, 7등급 기관은 절반 이상이 주당 40시간을 초과하고 있어 문제라는 것이 연구팀의 지적이다.
이러한 이유로 간호관리등급이 낮은 병원일수록 이직률도 높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다. 간호관리 1등급, 2등급 병원들은 이직율이 최대 35%, 26%에 불과했지만 6등급 병원들은 76%에 달했으며 7등급도 70%에 육박했다.
이에 따라 중소병원 간호사들을 위해 필요한 정책대안을 묻는 질문에서도 병원과 간협, 정부 모두 임금개선이 가장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최저임금제 도입 등을 통해 이같은 격차를 해소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설문결과 병원들의 85.5%가 최저임금설정 등 임금개선이 가장 시급하다고 답했으며 간협도 82.3%가 협회차원에서 최저임금을 설정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정부역시 마찬가지. 62.9%가 최저임금을 보장하는 것이 중소병원 간호사들을 위한 가장 효율적인 정책이라는 입장이다.
연구팀은 "간호관리료 등급이 낮을 수록 이직율이 높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특히 병상당 적정 간호인력이 확보되지 않은 열악한 병원일수록 노동강도가 상승하고 저임금에 시달려 간호사 이직이 증가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중소병원 간호사부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최저임금제와 유사한 경제적 인센티브에 대한 정책적 접근이 매우 중요하다"며 "간호관리료 차등제를 활용한 행정규제 등 정책적 의지도 함께 진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