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플루를 치료하는 전국의 거점병원들이 정부의 미흡한 지원책을 성토하고 나섰다.
16일 병원협회가 주최한 전국 신종인플루엔자 치료거점병원장 긴급대책회의에 참석한 이들 병원들은 신종플루 거점치료병원으로서의 고초를 쏟아냈다.
이날 참석한 병원들은 신종플루 치료를 위한 의료인력 부족과 격리시설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경기도 양주의 한 병원 관계자는 "전문의가 11명뿐인데, 이들을 신종플루 전담의사로 배치하려면 기존 환자 진료에 어려움이 있다"면서 "신종플루 치료를 외래중심으로 하는데, 외래의 경우 감염관리료의 혜택이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신종플루 거점병원이라는 이유로 환자가 급감했는데, 어느 누구도 책임지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철원의 한 병원측은 "118병상 중 20병상을 신종플루 전담병상으로 운용하다보니, 입원환자 유치를 못하고 있다"면서 "간호사, 의사를 따로 전담시키는 것도 어렵다"고 토로했다.
목포의 한 병원 관계자는 특수건진 차량에 진료소를 설치하고 출입구 3곳에서 발열체크를 하는 등 신종플루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다보니 직원 인건비 산정에 어려움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옥외진료소에 10여명의 의료진과 의료기사가 투입돼 있으며, 직원이 평일에 2개조, 주말에 3개조로 입구에서 환자 발열체크를 하고 있다"면서 "이들에 대한 근무외수당을 모두 병원에서 부담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복잡한 신종플루 환자 보고체계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건양대병원 김연화 교수는 "하루에 3번 보건소, 심평원, 질병관리본부에 타미플루 처방 현황, 의심 환자, 확진환자를 보고하다보니 환자보기가 어려운 상황"이라면서 "다른 나라도 신종플루에 대해 이같이 복잡하게 행정적으로 관리하는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서울아산병원의 김세화 팀장은 "행정기관의 자료제출 요구가 하루에도 몇번씩 쏟아진다"고 "특히 심평원은 의심환자와 확진환자를 분류하라는데 기준도 모호하다"고 설명했다.
김 팀장은 특히 응급 중환자실을 신종플루 격리병상으로 이용하다보니, 당초 응급 중환자실 건립 목적이 훼손돼 진료왜곡이 이뤄지고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날 회의를 주도한 병원협회는 신종플루 치료거점병원의 어려움을 모아 복지부 등 보건당국에 대책마련을 정식으로 요구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