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플루로 인한 사망자가 10명에 육박하면서 전국이 신종플루 공포에 휩쌓여있다.
하지만 감염에 대한 공포보다 더한 공포속에 빠져있는 곳이 있으니 바로 정부가 지정한 치료거점병원들이다.
이들의 두려움은 오직 하나다. 바로 거점병원 지정으로 인해 환자가 줄어드는 상황이다.
거점병원들의 우려는 이미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서울권 대학병원들이야 눈에 띌만한 타격을 받지 않았지만 지방에 위치한 병원들은 모두가 10%이상 환자가 줄어들었다고 호소하고 있다.
특히 건강검진시장은 초토화상태다. 지방의 한 병원의 경우 건진예약율이 30%이상 줄어들어 울상을 짓고 있다.
병원간 갈등도 일고 있다. 경쟁병원간 신종플루 환자를 둘러싸고 첨예한 대립이 한창이다.
가뜩이나 환자가 줄고 있는 상황에서 거점병원으로 지정받지 않은 병원들이 의심환자부터 모조리 전원을 해버리니 울고싶은데 뺨맞은 형국으로 이들의 불만은 높아져만 가고 있다.
하지만 당초 정부가 약속했던 당근은 준비가 되지 않은 듯 하다.
거점병원으로 열심히 정부를 도와주면 이것도 저것도 다 지원하고 책임져주겠다던 정부는 이제와서 질관리를 하겠다며 거점병원 지정을 취소하느라 바쁘다.
더욱이 신종플루 환자관리가 소홀하다며 보건소에 심평원까지 나서 일일보고를 받겠다고 하니 거점병원들은 봉기라도 할 태세다.
물론 국가적 위기상황에 모두가 힘을 합쳐 이를 극복해야 한다는 대전제는 충분한 타당성이 있다. 하지만 의료기관이 정부가 요구하는 무조건적인 희생을 따라야할 의무는 없는 것도 사실이다.
지금 정부의 정책은 말 잘듣는 아이에게 더 잘들으라며 채찍질을 하고 있는 꼴이다.
신종플루 극복에 힘을 보태겠다며 거점병원에 참여한 병원들은 막대한 비용손실을 보고 있고 이를 거부했던 병원들은 이에 대한 반사이익을 보고 있다.
이러한 정책이 지속된다면 과연 다음에는 어느 누가 정부의 부름에 답하겠는가. 국가를 위해 희생한 이들은 국가가 끝까지 그들을 책임져준다는 선례가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