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산병원 교수팀이 작은 심장 구멍이 뇌졸중을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서울아산병원 송재관 교수(심장내과)·김종성 교수(신경과)팀은 2000년부터 2007년까지 서울아산병원에 입원한 4543명의 허혈성 뇌졸중 환자 가운데 원인이 명확하지 않아 심장질환에 의한 뇌졸중이 의심되는 1014명에게 경식도 심초음파술을 시행했다.
그 결과 이 중 21%인 184명에서 난원공 개존증(PFO)이 뇌졸중의 직접적인 원인이었다는 것을 밝혀냈다.
또한 이들 환자를 평균 3.5년 추적 관찰해 뇌졸중 발생의 재발 위험요인을 분석했다.
PFO는 태아가 산모의 뱃속에 있을 때 어머니와의 혈액 순환을 위해 꼭 필요한 구조물인데, 태어나서 본인이 호흡을 시작하게 되면 자연적으로 닫혀야 정상이지만 남아 있는 경우를 말한다.
난원공이 열려 있으면 우심방의 정맥 피가 곧장 좌심방으로 들어가 동맥으로 순환하다가 혈전이 뇌동맥을 막게 되면 뇌졸중이 발생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흉부에 직접 대고 시행하는 심초음파와는 달리 식도를 통해 들어가는 경식도 심초음파로 PFO의 크기와 심방 사이의 벽 모양에 따라 재발 위험도를 평가하고 측정할 수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PFO의 크기가 3mm 이상이거나 심방중격의 운동성이 뛰어날 경우 뇌졸중의 발생위험이 특히 높아지므로 약물치료보다는 적극적인 PFO 폐쇄가 뇌졸중의 재발을 줄일 수 있다.
예전에는 전신마취 하에 가슴을 직접 열어서 수술적 방법으로 교정했지만 최근에는 혈관을 통해 간단한 시술적 교정이 보편화됐다.
대략 3박 4일의 짧은 기간이면 충분하고 상처 부위도 크지 않은 것이 장점으로 꼽을 수 있다.
송 교수는 “이렇게 심장의 작은 구멍은 약 20%의 성인에게서 나타나는 흔한 현상이지만 치료 여부의 결정에는 전문가들의 세밀한 협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미국심장학회지(American Journal of Cardiology) 최근호에 이 논문이 게재돼 학계에서도 두 질환의 연관관계와 치료 원칙 결정에 도움이 되는 조건을 밝힌 것에 큰 의의를 둔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