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과 고령화 대책으로 분만취약지 지원확대와 일차의료 중심 만성질환 프로그램이 도입된다.
보건복지부 최원영 차관(사진)은 10일 오전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당정 협의를 거친 ‘제2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2011~2015년)을 발표했다.
이번 2차 기본계획은 점진적 출산율 회복 기반 구축과 고령사회 대응체계 확립을 목표로 4대 분야에 걸쳐 227개 과제로 구성됐다.<표 참조>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09년 기준)은 1.15로 미국(2.12)과 프랑스(2.0), 스웨덴(1.91) 등 OECD 평균인 1.71에 비해 세계 최저 수준이며 고령화는 노인 인구 비율인 2050년 38.2%로 선진국 평균인 25.9%를 초과한 세계 최고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복지부는 의료분야 저출산 대책으로 농어촌 등 분만 취약지역내 산부인과 설립비용을 지원하고 중증 고위험 분만 및 신생아 치료를 위한 통합치료센터를 설치,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대학병원내 신생아집중치료실 설치 확대(10년 3개소) ▲자연분만수가 50% 인상(11년 7월 가산) ▲체외수정 시술비 회당 지원확대(150만원→300만원)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 확대(10년 30만원→12년 50만원) ▲민간의료기관 예방접종 지원비 단계적 확대(10년 30%) 등도 추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