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형 실거래가상환제(저가구매 인센티브제)를 도입하려는 부산대병원과 경희의료원이 같은 제도를 놓고 다른 행보를 보여 관심이 주목된다.
의약품 가격과 공급 능력을 놓고 부산대병원은 전자에, 경희의료원은 후자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모습이다.
먼저 부산대병원은 원내 코드 입성을 위한 조건으로 가격 경쟁력을 보다 우선시하는 태도를 보였다.
지난 9월 중순경 도매상과 원내 소요약 1, 2차 입찰을 진행한 부산대병원은 이 과정에서 유찰 품목이 대거 발생하자 수의계약으로 방향을 선회했다. 조건은 예정가격(예가)의 단독품목은 15%, 경합품목 30% 할인이다.
한마디로 보험 상한가가 1000원이라면 단독은 850원, 경합은 700원 이하로 약을 공급할 수 있는 제약사-도매상이 있어야 계약하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병원측 제시에 부담을 느낀 업계가 입찰을 포기하면서 수의계약도 이렇다할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이에 부산대병원은 수의계약에서 유찰된 품목은 1개월간 기존업체를 통해 공급받고, 10월에 다시 재입찰하기로 했다.
당시 수의계약을 앞둔 한 도매상 관계자는 "(도매상들이) 1, 2차 입찰 과정에서 낮출 수 있는 한도까지 가격을 조정한 만큼 많은 수의계약이 이뤄질 것으로 보지 않는다"고 현 상황을 전했다.
반면 사립대병원으로는 첫 저가구매를 도입하려는 경희의료원은 가격보다는 의약품 공급 능력을 보다 중요시하는 분위기다. 적어도 표면적으로 밝힌 입찰 설명회를 보면 말이다.
경희의료원은 오는 27일까지 16개 도매상들을 대상으로 입찰서 등 등록 서류를 받는데, 평가 비중은 입찰 제안서 70%, 공급 가능 가격 30%이다.
부산대병원의 입찰 형식이 아닌 우선협상 도매상을 선정, 여기서 소수 업체를 추리는 방식이다.
한마디로 의약품 공급 능력을 가격보다 중점을 두겠다는 뜻이다.
이에 대해 제약업계는 변화무쌍한 병원측 방침에 혼란스럽다 분위기다.
국내 상위 A사 임원은 "저가구매를 활용하려는 방침이 병원마다 제각각이다보니 전략적 방침을 세우기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다"며 "저가구매 관련 별도 부서가 곳곳에서 생기는 것도 보다 현명한 방안으로 대처하기 위한 자구책이 아닌가 싶다. 솔직히 헷갈린다"고 토로했다.
국내 중위권 B사 관계자도 "병원별로 맞춤형 전략을 짜서 고민에 고민을 하고 있다"고 어려움을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