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혁 비서관 임명, 의료산업화 정면돌파?

장종원
발행날짜: 2010-06-08 08:24:44
  • 속도조절론 전망 뒤짚어…시민단체 "임명철회" 반발

[메디칼타임즈=]
청와대가 이화여대 정상혁 교수를 보건복지비서관에 전격 기용한 것과 관련해,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8일 국회와 시민단체 등에 따르면 이번 정 교수 임명이 청와대가 영리병원 허용 등 의료산업화 정책을 공세적으로 정면돌파하기 위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정부와 여당이 이번 지방선거에서 참패하면서 국민적 반발이 예상되는 의료산업화 정책도 속도조절하지 않겠느냐는 분석이 제기됐었다.

하지만 청와대는 지방선거 이후 첫 인사에서 정 교수를 임명하면서, 속도조절이 아닌 정면돌파를 선택했다는 분석. 특히 보건복지비서관에는 복지부 관료 기용이 유력했으나 막판 정 교수로 바뀐 점도 이 같은 주장에 설득력을 제공하는 배경이다.

정 교수의 경우 이명박 정부 인수위 시절에 참여해 당연지정제 완화 등의 정책을 내놓은 핵심인물이다. 또한 보건소 기능 축소, 당연지정제 완화, 영리병원 허용, 일반약 슈퍼판매 등을 강력하게 주창해왔다.

영리병원 허용 등에 속도조절론을 강조해왔던 전재희 장관과 복지부와는 다른 입장을 가진 인물. 따라서 복지부 장관 교체와 함께 정부가 의료산업화를 강하게 밀어붙일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현재 보건의료분야에서는 의료산업화와 관련된 의료기관 인증제, MSO·의료법인 합병 등을 담은 의료법 개정안, 영리병원 허용을 위한 경제특구법 개정안 등이 논란이 되고 있다.

여당쪽 국회 관계자는 "정부가 영리병원 등 관련 정책을 흔들림없이 수행하겠다는 의지를 담은 것으로 볼 수 있다"면서 "파격적인 기용인 것은 틀림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야당은 "의료민영화를 주장하는 정 교수의 임명으로 오히려 선명하게 선이 그어져 나쁠 것이 없다"면서 "국회에서 의료민영화 정책에 문제를 제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시민단체들은 즉각 성명을 내고 정 교수의 임명철회를 요구하고 나섰다.

의료민영화저지 범국민운동본부는 "정 교수는 의료민영화를 추진하는 대표적 인물로 인수위 시절에는 당연지정제를 주장해 왔다"면서 "각종 토론회에서는 국민 건강권보다 의료계의 이익을 앞세웠던 인물"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지방선거 이후 MB이 첫 인사에 경악과 분노를 금치 못한다"면서 "(정 교수를) 보건복지비서관으로 임명한다는 점은 앞으로 MB정부가 국민에게 의료민영화를 대대적으로 추진하겠다는 선전포고"이라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정책 기사

댓글 2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 뭘바 이녀석아 2010.06.08 11:46:23

    별 똘아이 다보겠네
    보사부에서 이런걸 모르는줄 아냐. 그냥 넘어가는거지. 약사 떨거지 관료들이
    다막아준다. 그런데 아무리 봐도 약사 같지 않은데... ㅋㅋ 놈이 약사같해
    똘아이. 공부안한것들이 열등감은 있어서 환자를 위해 한번도 잠설친적이
    없는 놈들이

  • ㄴㅇㅁㄻㄴㅇㄹ 2010.06.08 10:04:09

    의사들 보아라
    우리 약사들 리베이트로 최소 5% 먹는다.

    도매에서 약 받을 때 5% 않 주면 약 않 받아 버린다.

    도매에서 않 받고 제약회사에서 약 받아도 최소 5%는 주거든

    많게는 10%에서 30% 주는 것도 있다.

    이제 너희 의사들 끝나는 날도 얼마 않 남았다.

    우리는 또 매약도 있다.

    그리고 환자가 2달 처방 받아도 환자가 돈이 없다면서

    1달 치만 가져가면 건강보험으로 2달치 청구해서 먹을 수도 있다.

    물론 그 약도 절약해서 다른 환자에게 줄수 있으니 따따블 이익이다.

    또 너희 의사들이 아무리 정품약 처방해도

    우리가 모양 비슷한 카피약으로 환자에게 주면 된다.

    이런 약일수록 원가 500원 짜리 약을 원가 300원으로 줄수 있으니

    1알당 200원씩 우리가 더 먹을수 있다.

    그것만 해도 30일 치면 6,000원이고 60일치면 12,000이다.

    또 이런 약일수록 도매상에서 챙겨 주는게 더 많거든.

    절대 환자들은 알수가 없다.

    그럼 우리는 정품으로 보험 청구해서 돈 더 받고

    정품 대신 더 가격이 싼 카피약 쓰니 그 차액 만큼 더 챙길 수 있다.

    그래서 우리는 환자가 2달치 처방 받고 오면 너무나 좋다.

    그리고 너희 의사들이 100mg이나 80mg 짜리 처방해도

    우리가 50mg이나 40mg 으로 바꾸어 줘 버리면 된다.

    환자가 뭘 알겠어.

    그럼 우리는 또 처방전 나온 대로 보험 청구해서 돈 더 받을 수 있고

    환자들에게 100mg이나 80mg이라고 하면서 약값을 더 받을 수도 있다.

    의사들 너희들 이제 끝났다.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