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원 월 수입 충북 4000만원 1위…그러면 꼴찌는?

발행날짜: 2014-09-30 05:55:35
  • "의원 수 많은 지역일수록 수익 저하…매출 하향평준화 지속세"

|2013년 건강보험 통계연보 분석|

의원 수가 많은 서울과 의원 수가 적은 지방 중 어느 곳의 수입이 높을까.

국민건강보험공단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간한 '2013년 건강보험 통계연보'에 따르면 의원 수가 많은 지역의 경우 적은 지역보다 수입이 적었다.

메디칼타임즈는 '2013년 건강보험 통계연보'를 근거로 17개 시도별 총 요양급여비용과 기관수를 통해 기관 당 월평균 수입을 분석했다.

분석결과, 지난해 전국에서 충청도 지역 의원들의 수입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월 평균 요양급여비용이 4000만원을 넘는 지역은 충북이 유일했다.

2012년에는 충남지역 의원들의 가장 수입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지난해에는 충북이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충북 지역 의원의 한 곳당 평균 월 매출액은 4006만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고, 충남이 3989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이어 전남이 3718만원, 경북 3712만원, 전북 3710만원, 경남 3633만원 순이었다.

반면, 서울 지역 의원들은 월 평균 수입이 2486만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적었다. 평균 수준인 3140만원보다도 600만원 가량이나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 대구, 광주, 대전 등 대도시 지역 역시 전국 평균 매출보다도 수입이 더 적은 결과를 보였다.

세종시의 경우 월 평균 수입은 3394만원으로, 2012년(1740만원)과 비교했을 때 2배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파악됐다.

2013년 시도별 의원 한 곳당 월 급여수입
대도시일수록 의원 매출 적다 "대형병원들도 영향 끼쳐"

서울의 경우 인접 지역인 경기도보다 기관수는 2000곳 가까이 더 많았지만, 수입은 800만원이나 더 적은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의 A신경과의원 원장은 "전국 의원급 의료기관의 매출 분석을 볼 때마다 상대적 박탈감을 느낄 때가 많다"며 "서울이나 대도시에 대형병원들이 집중돼 있는 곳들의 의원들이 매출이 적은 것을 볼 수 있다. 결국 환자들일이 대형병원으로 쏠리다 보니 이런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더욱이 지방의 경우는 의원급에 의사가 1명인 경우가 많지만 서울이나 대도시는 다르다"며 "여러 명의 의사가 봉직의로 근무하는 의원들도 상당수이기 때문에 실제 매출은 더 적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방의 B시도의사회장은 "과거에도 의원들이 어렵다는 말은 해왔지만 지금과는 다르다"며 "10년 전과 비교했을 때 의료기관이 많아졌고, 경제성장 정체기에 비급여도 제도권으로 많이 들어오면서 진료내역이 투명화가 됐다"고 평가했다.

그는 "즉 이제는 인위적으로 진료량을 늘리는 데도 한계가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며 "결국 의료기관 간 매출의 하향평준화는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정책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