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약성진통제, 위험보다 이득 크면 주저할 이유없다"

손의식
발행날짜: 2015-05-11 05:30:53
  • 한국먼디파마 의학부 조인성 과장 "인식 부족 따른 장벽 아쉬워"

[메디칼타임즈=] 국내 만성통증환자는 성인 인구의 약 10% 이상인 약 250만 명 가량으로 추정되고 있다. 암성통증관리지침 권고안 5판에 따르면 국내암성통증유병률은 적게는 약 52%에서 많게는 80%까지 이른다.

특히 '2010년 맞춤형 방문간호사의 재가노인 만성 근골격계 통증 사정 및 관리에 대한 실태조사' 연구에 따르면 노년기에 흔히 나타나는 건강문제 중 하나는 만성통증으로, 2008년도 전국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결과, 노인만성질환유병률 2위가 관절염(34.3%), 3위가 요통과 좌골통(21.0%), 5위가골다공증(12.7%) 등으로 나타날만큼 많은 노인들이 근골격계질환으로 고통을 받고 있다.

통증 환자 증가 추세만큼 진통제들도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마약성 진통제의 경우 '마약성'이라는 단어가 가지고 있는 중독 및 법적 우려와 부작용에 대한 걱정으로 적극적 처방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한국먼디파마 의학부 조인수 과장(신경학 박사)을 만나 마약성 진통제의 필요성과 처방을 막는 장벽의 원인에 대해 들어봤다.

조인수 과장은 NSAIDs와 차별되는 마약성 진통제의 필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조 과장은 "통증을 다루기 위한 진통제에는 마약성 진통제(opioid)와 비마약성 진통제(NSAIDs)가 있다"며 "통증은 염증반응 또는 면역반응이다. 그런데 NSAIDs는 통증을 막기 위해 염증반응 자체를 차단한다. 반면 opioid는 염증반응은 억제하지않고 통증 자체를 억제하기 때문에 굉장히 강력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다치면 신경세포를 타고 머리에 통증이 전달돼 아프다고 인식하게 된다. 각각의 자극에 수용체들이 존재해 통증을 만들어 내고 통증이 만들어지면 억제신호가 내려온다. 통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아프다는 신호를 작게 만들거나 그만 아프라고 하는 신호를 강력하게 만들어야 한다. opioid는 두가지 기전을 다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NSAIDs는 부작용 심하고 opioid만큼 효과가 강력하지도 않고 필요한 일부 염증반응까지 막아 상처부위가 아무는 것을 가로 막아 특히 수술 후 NSAIDs를 함부로 못쓴다"며 "마약성 진통제는 임상현장에서 필요할 수 밖에 없는 진통제"라고 강조했다.

"만성통증 관리,NSAIDs로는 한계 있다"

통증학회 등의 의견을 빌려 마약성 진통제가 필요한 부분에 NSAIDs가 처방되고 있다고 했다.

조 과장은 "신경세포가 끊어지거나 통증을 너무 잘 전달하는 등 신경세포 자체가 변해 발생한 신경병증성 통증은 염증세포와 전혀 관련이 없다. 염증반응이 없기 때문에 NSAIDs로 조절할 수가 없다. 특히 만성통증(Chronic pain)의 경우는 신경병증성 통증이 많다. 그런 경우 NSAIDs로는 한계가 있다. 오피오이드를 꼭 고려해야 한다"며 "그러나 한국에선 아직까지 마약성 진통제에 대한 벽이 있어서 NSAIDs 처방하는 경우 많다. 실제로 통증학회에서도 이런부분들 지적해왔다"고 강조했다.

그는 "국제 가이드라인인 NCCN에서는 통증점수가 1점이라도 마약성 진통제 사용을 고려하라고 하고 있다. 통증을 내버려두면 결국 만성화가 일어나고 이는 신경세포 자체가 변하게 된다는 의미고 결국 염증반응이 없어도 무조건 아프게 된다"며 "그러다보니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측면에서 오피오이드가 1점이라도 쓰도록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암환자는 장기전을 생각해야 한다. 몇년동안 항암치료 받기도 한다. 통증이 몇년동안 따라다닐 수 있다는 의미다. 장기전에서는 만성통증이 예상되니 적극적으로 마약성 진통제 쓰라고 가이드라인은 말하고 있다"며 "임상적으로도 증명이 됐다. 마약성 진통제를 마냥 두려워할 것이 아니라 의학적 베네핏 있으면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위험도보다 효과 크면 마약성 진통제 주저할 이유 없어"

한국에서의 마약성 진통제에 대한 장벽에 대해서는 아쉽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한국에서의 마약성 진통제는 많은 장벽이 있다. 물론 한국은 이미 어느 정도 mutual market이 됐기 때문에 많은 의사들이 마약성 진통제의 이점을 인정하고 있다"며 "그러나 지난해 유럽 논문에 따르면 안타깝게도 한국에서는 아직까지가 50%의 언더트리트(undertreat)가 있다"고 말했다.

의료진과 환자, 제도적 문제가 마약성 진통제의 장벽을 막고 있다고 봤다.

의료진의 문제점으로는 ▲통증조절 지식부족 ▲통증호소에 대한 평가부족 ▲법적규제에 대한 우려 ▲마약중독에 대한 우려 ▲마약성 진통제의 부작용에 대한 우려를 꼽았다.

환자 문제점으로는 ▲통증을 다른 사람에게 호소하는 것을 기피 ▲마약성 진통제의 중독 우려 ▲진통제의 부작용 우려 ▲진통제 사용시 질병치료 방해 우려 등을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제도적으로는 ▲통증조절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부족 ▲건강보험 삭감 ▲마약성 진통제의 취급 규제 등의 문제가 있다고 했다.

그는 "환자들이 거부하면 의료진들이 강요할 수가 없다. 환자 본인이 마약성 진통제 투여를 꺼려하면 의료진들도 적극적으로 메디케이션하는데 불리할 수 있다"며 "이미 많은 논문들에서 이런 부분을 지적해왔다. 논문들은 90% 이상 통증을 조절할 수 있다면 마약성 진통제를 포기하긴 아깝다고 이야기 한다. 이점과 위험도의 비율을 따질 때 이점이 훨씬 크면 마약성 진통제 사용을 주저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제약·바이오 기사

댓글 5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 아무래도 2010.07.02 11:32:29

    의료기기는 누구소속이 없다
    아무리 떠들어대도 서서히 한의사도 무리없이 사용가능하게 될것이다
    국민은 누가 사용하던 상관없거든
    쥐를 잡는자가 고양이이듯이 환자치료를 잘해주는 자가 의사이다
    누가 사용하면 어떠냐
    그럼집에서 개인이 쓰는것도 의료법위반이냐?

  • 한방박멸 2010.07.02 10:55:53

    어디한번 한방사들 뭐라고 지껄이나 봅시다.
    진단하려는데 의료기기가 어디 구분이 있냐고 하드만..
    알고보니 치료기기가 더욱많군요.
    진단도, 치료도 의료기기로 할 거면,
    한방대학의 존재, 한방의 존재이유가 없지요??

  • ;; 2010.07.02 09:30:38

    저게 어딜봐서 진단기기냐?? 환자몸에 주사놓고 침찌르는?
    저게 어딜봐서 진단기가냐?
    환자몸에 주사놓고 침찌르는게 진단이냐??
    주사는 대법원 판례에서 이미 무면허의료로 확정판결이 난 지 오래다.
    정말 한방무당들... 기가막힌다..
    기나 어혈.. 지네 눈으로도 안보이니까 안믿고 고작 하는게.. 저따위..

  • gus 2010.07.02 09:20:06

    한의사도 의사들도 다 환자만 잘치료하면 그만인거 아닌가요?
    현대의료기기는 의사만쓰란법 누가 만들엇나요?
    사용할수 있으면 누구나 사용하는것 아닌가요
    의사들이 사용하는것도 아니더만 밑에 기사들이 다
    하더만~ 판독한다고?
    오판해서 암있다고 배가르려아 말고 덮은 환자만도
    무지기수더구먼~
    우리회사 팀장도 폐암있다고 해서 유서까지쓰고 난리였는데
    아무것도 없다는걸 다른병원을 통해서 나중에 알고나서 의사 한데 주먹으로
    때리고 나왔다고 하더만 참 웃기는 집단이야?
    환자입장에선 누구든지 사용하여 잘 치료만 해주면
    되는구먼요~ 제발 밥그릇챙기느라 환자는 남몰라라 하지 마셔~

  • 어차피 2010.07.02 08:48:40

    의료기는 어차피 의료기사가 있으니까 한의원에
    의료기사 고용하면 돼겟네
    그런데 이거 의료기땜시 시끄럽겟는디
    한의사 어면히 의사니까 진단권은 가지고 잇다고 봐야겟고
    문제로다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