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섭 의원, 병상간격 2.2m이상 중환자실 9.8%에 불과
열악한 병원시설의 협소한 중환자실이 감염 위험을 높인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통합신당 김명섭 의원은 9일 열린 보건복지부 국정감사에서 '2002 병원표준화심사자료'에 근거, 지난해 265개 병원의 중환자실에 대한 조사결과, 우리나라 중환자실 중 병상 간격이 1m 미만의 협소한 중환자실이 20.8%로 55개 병실이라고 밝혔다.
또한 중환자실 병상 간격이 2.2m를 넘는 중환자실은 26개로 전체 9.8%에 불과해 감염위험을 높인다며 적절한 중환자실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통합신당 김명섭의원은 "중환자실은 감염예방과 집중 치료 인력의 원활한 치료목적 때문에 더 넓은 병상 면적이 요구된다"며 "중환자실의 경우 미국은 21(4.6 ×4.6)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일본은 16(4 ×4)를 규정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중환자실의 병상 면적과 간격에 대한 기준조차 없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또 조사한 병원중 중환자실의 병상 간격이 80cm 미만인 경우도 있어 중환자실 병상과 병상 사이를 지나는 것조차 불편한 지경이라고 설명했다.
중환자실 운영 관계자는 "좁은 공간에 많은 환자들이 치료를 받고 있고 한 간호사가 여러 명의 환자를 보게돼 감염 방지 시설도 부족한 상황"이라며 감염의 위험은 구조적인 문제라고 밝혔다.
이에 김 의원은 "이렇게 열악한 상황은 중환자실에서 정상적인 집중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며 "사스와 같은 감염 위험이 높은 질환의 경우 이 같은 중환자실로 격리한다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말했다.
또한 대규모 전염병 발생, 생물테러 등을 감안하면 사회안전망 차원에서의 적절한 중환자실 확보는 매우 시급한 과제라고 밝혔다.
통합신당 김명섭 의원은 9일 열린 보건복지부 국정감사에서 '2002 병원표준화심사자료'에 근거, 지난해 265개 병원의 중환자실에 대한 조사결과, 우리나라 중환자실 중 병상 간격이 1m 미만의 협소한 중환자실이 20.8%로 55개 병실이라고 밝혔다.
또한 중환자실 병상 간격이 2.2m를 넘는 중환자실은 26개로 전체 9.8%에 불과해 감염위험을 높인다며 적절한 중환자실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통합신당 김명섭의원은 "중환자실은 감염예방과 집중 치료 인력의 원활한 치료목적 때문에 더 넓은 병상 면적이 요구된다"며 "중환자실의 경우 미국은 21(4.6 ×4.6)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일본은 16(4 ×4)를 규정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중환자실의 병상 면적과 간격에 대한 기준조차 없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또 조사한 병원중 중환자실의 병상 간격이 80cm 미만인 경우도 있어 중환자실 병상과 병상 사이를 지나는 것조차 불편한 지경이라고 설명했다.
중환자실 운영 관계자는 "좁은 공간에 많은 환자들이 치료를 받고 있고 한 간호사가 여러 명의 환자를 보게돼 감염 방지 시설도 부족한 상황"이라며 감염의 위험은 구조적인 문제라고 밝혔다.
이에 김 의원은 "이렇게 열악한 상황은 중환자실에서 정상적인 집중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며 "사스와 같은 감염 위험이 높은 질환의 경우 이 같은 중환자실로 격리한다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말했다.
또한 대규모 전염병 발생, 생물테러 등을 감안하면 사회안전망 차원에서의 적절한 중환자실 확보는 매우 시급한 과제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