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애주 의원, 대국민 홍보강화 등 관리대책 시급 지적
이들 의약품은 의사의 처방을 통해서만 구입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지만, 관리체계가 미흡한데다 국민들의 이해도도 낮아 제대로 이행되지 못하고 있다.
9일 한나라당 이애주 의원(복지위)에 따르면 식약청이 '해피드럭' 등 오남용우려의약품으로 지정, 운영하고 있는 약품의 생산량이 2006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5년까지 대체로 감소세를 보이던 오남용우려의약품이 2006년 전년비 26.7%, 2007년 50% 가량 늘어난 것.
문제는 '해피드럭'의 생산량이나 시장 규모가 매년 커져가고 있는데도, 이 의약품이 어디로 공급되어서 사용되는지 파악조차 되지 않고 있어 상당부분 관리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다는 점이다.
이애주 의원은 "이들 의약품은 의사의 처방을 통해서만 구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비보험 의약품이기 때문에 의료기관에서 얼마만큼 처방을 했는지 보고할 의무도 없어 의약품의 사용행태에 대한 모니터링이 되지 않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애주 의원은 "현재 정부에서 추진 중인 의약품 바코드제가 시행되면 일정 부분 해결이 될 수 있으나, 제도의 시행에 장애물이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들 해피드럭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 전환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정부가 오남용우려의약품이라고 표시를 해봤자 국민들이 그 내용을 모른다면 소용없는 일"이라면서 "의약품을 정상적인 경로로 구입하지 않을 경우 그리고 의사 진찰없이 구입할 경우 어떤 치명적인 위험이 있을 수 있는지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대국민 홍보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