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양대병원 2년 치료성적 발표 "폐암·간암 등에 획기적"
건양대병원(원장 하일영)은 2년간 로봇 사이버나이프를 이용해 암을 치료한 결과 기대 이상의 치료성적을 보였다고 13일 밝혔다.
그러나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아 환자들의 치료비 부담이 크다는 게 단점으로 꼽히고 있다.
건양대병원 암센터 정원규(방사선종양학과) 교수팀에 따르면 2007년 4월부터 2009년 6월까지 사이버나이프 치료를 받은 환자는 800명으로 집계됐다.
질환별로 보면 뇌종양 및 뇌혈관질환이 180명으로 가장 많았고, 간담도 췌장암 154명, 폐암 106명, 척추전이 암 104명, 복부임파절 95명, 두경부암 57명, 뼈 전이 암 45명, 전립선암 29명이었다.
육종, 흑색종, 신장암, 구강암 등 기타 환자가 30명을 차지했다.
치료성과를 보면 폐암의 경우 암의 크기가 4㎝ 이하인 원발암과 전이암 환자의 92%에서 종양이 완전 소멸돼 획기적인 치료효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정원규 교수는 “4cm 이상인 환자에서는 완전 반응은 없었고 70~80% 가량에서 종양 크기가 줄어들었다”고 설명했다.
간암환자 중 근치적 시술을 받은 환자의 93%에서 완전, 또는 부분 소멸을 보였으며 특히 치료한 부위에서 다시 재발한 경우는 단 1명에 불과했다.
폐암의 경우 종양의 크기가 4㎝이하의 경우는 92%에서 종양이 완전히 사라지는 등 획기적인 치료효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전립선암환자 29명 중 다른 곳에 전이가 없이 근치적 시술을 받은 26명은 모두 100% 국소치료 효과를 얻었으며 재발은 한 명도 없었다.
뇌종양, 복부임파절 전이환자, 척추나 뼈에 전이된 암 환자에서도 종전의 방사선치료보다 짧은 치료기간 안에 10~50%의 치료성과를 얻었다.
로봇 사이버나이프는 방사선이 나오는 가속기를 소형화해 로봇 팔에 장착시킨 최첨단의 장비로 로봇 팔이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방사선가속기를 통해 200~300개 방향에서 방사선 빔이 나와 암 조직에 집중시켜 암을 파괴시키는 원리다.
치료과정은 일반 방사선치료와 거의 비슷하다.
의사와 상담 후 CT나 MRI를 촬영해 암의 위치와 크기를 정확하게 파악한 다음 컴퓨터를 이용해 치료계획을 세우는 것 까지는 다른 방사선치료나 일반 사이버나이프와 거의 같다.
다른 방사선 치료기가 4~6개 방향에서 방사선 빔을 환부에 보내는 반면 사이버나이프는 200~300개 이상의 방향에서 방사선을 보내 그 초점을 암 조직에 집중시킨다는 게 차이점이다.
이 때문에 정상조직에는 최소한의 방사선영향을 주면서 암 조직에는 엄청난 양의 방사선을 집중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방사선 치료는 두 달 가까이 시간을 두고 치료를 해야 하지만 로봇 사이버나이프는 단 1~3회에 치료를 마칠 수 있고 최대 5회 이내에 모든 치료를 끝낼 수 있다.
이와 함께 암 치료기로 관심을 모으고 있는 양성자 치료기나 토모테라피 등 최신의 장비들도 그 치료효과가 높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로봇 사이버나이프는 방사선을 쪼이는 동안 실시간 추적 장치를 이용해 환자의 호흡이나 몸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이게 되는 종양의 위치를 추적하면서 정확하게 방사선을 쪼여 암 조직을 파괴하는 특징도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건양대병원 외에도 순천향대병원, 인하대병원 등에도 로봇 사이버나이프가 도입돼 암 환자의 치료에 많은 성과를 올리고 있다.
건양대병원의 로봇 사이버나이프는 2008년 한 해 전세계 180개 로봇 사이버나이프센터 중 여섯 번째로 많은 환자를 치료한 것으로 집계됐다.
정원규 교수는 “2년간 로봇 사이버나이프를 가동한 결과 만족스러운 치료 성적을 올렸다”면서 “문제는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아 비용부담이 크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아 환자들의 치료비 부담이 크다는 게 단점으로 꼽히고 있다.
건양대병원 암센터 정원규(방사선종양학과) 교수팀에 따르면 2007년 4월부터 2009년 6월까지 사이버나이프 치료를 받은 환자는 800명으로 집계됐다.
질환별로 보면 뇌종양 및 뇌혈관질환이 180명으로 가장 많았고, 간담도 췌장암 154명, 폐암 106명, 척추전이 암 104명, 복부임파절 95명, 두경부암 57명, 뼈 전이 암 45명, 전립선암 29명이었다.
육종, 흑색종, 신장암, 구강암 등 기타 환자가 30명을 차지했다.
치료성과를 보면 폐암의 경우 암의 크기가 4㎝ 이하인 원발암과 전이암 환자의 92%에서 종양이 완전 소멸돼 획기적인 치료효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정원규 교수는 “4cm 이상인 환자에서는 완전 반응은 없었고 70~80% 가량에서 종양 크기가 줄어들었다”고 설명했다.
간암환자 중 근치적 시술을 받은 환자의 93%에서 완전, 또는 부분 소멸을 보였으며 특히 치료한 부위에서 다시 재발한 경우는 단 1명에 불과했다.
폐암의 경우 종양의 크기가 4㎝이하의 경우는 92%에서 종양이 완전히 사라지는 등 획기적인 치료효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전립선암환자 29명 중 다른 곳에 전이가 없이 근치적 시술을 받은 26명은 모두 100% 국소치료 효과를 얻었으며 재발은 한 명도 없었다.
뇌종양, 복부임파절 전이환자, 척추나 뼈에 전이된 암 환자에서도 종전의 방사선치료보다 짧은 치료기간 안에 10~50%의 치료성과를 얻었다.
로봇 사이버나이프는 방사선이 나오는 가속기를 소형화해 로봇 팔에 장착시킨 최첨단의 장비로 로봇 팔이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방사선가속기를 통해 200~300개 방향에서 방사선 빔이 나와 암 조직에 집중시켜 암을 파괴시키는 원리다.
치료과정은 일반 방사선치료와 거의 비슷하다.
의사와 상담 후 CT나 MRI를 촬영해 암의 위치와 크기를 정확하게 파악한 다음 컴퓨터를 이용해 치료계획을 세우는 것 까지는 다른 방사선치료나 일반 사이버나이프와 거의 같다.
다른 방사선 치료기가 4~6개 방향에서 방사선 빔을 환부에 보내는 반면 사이버나이프는 200~300개 이상의 방향에서 방사선을 보내 그 초점을 암 조직에 집중시킨다는 게 차이점이다.
이 때문에 정상조직에는 최소한의 방사선영향을 주면서 암 조직에는 엄청난 양의 방사선을 집중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방사선 치료는 두 달 가까이 시간을 두고 치료를 해야 하지만 로봇 사이버나이프는 단 1~3회에 치료를 마칠 수 있고 최대 5회 이내에 모든 치료를 끝낼 수 있다.
이와 함께 암 치료기로 관심을 모으고 있는 양성자 치료기나 토모테라피 등 최신의 장비들도 그 치료효과가 높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로봇 사이버나이프는 방사선을 쪼이는 동안 실시간 추적 장치를 이용해 환자의 호흡이나 몸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이게 되는 종양의 위치를 추적하면서 정확하게 방사선을 쪼여 암 조직을 파괴하는 특징도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건양대병원 외에도 순천향대병원, 인하대병원 등에도 로봇 사이버나이프가 도입돼 암 환자의 치료에 많은 성과를 올리고 있다.
건양대병원의 로봇 사이버나이프는 2008년 한 해 전세계 180개 로봇 사이버나이프센터 중 여섯 번째로 많은 환자를 치료한 것으로 집계됐다.
정원규 교수는 “2년간 로봇 사이버나이프를 가동한 결과 만족스러운 치료 성적을 올렸다”면서 “문제는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아 비용부담이 크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