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 "입원환자 원외처방한 병원 과징금 정당"

안창욱
발행날짜: 2009-10-19 12:20:21
  • A병원 행정소송 패소…"약제 직접 구입, 원내조제가 원칙"

[메디칼타임즈=] 일부 입원환자에게 원외처방전을 발행, 원외 약국에서 약을 조제 받게 한 의료기관에 대해 보건복지가족부가 과징금 처분을 내린 것은 정당하다는 법원의 판결이 나왔다.

서울행정법원 제5부(재판장 이진만)는 A병원 K원장이 복지부를 상대로 청구한 의사면허정지처분, 과징금부과처분 취소 소송에 대해 최근 원고 패소 판결을 내렸다.

복지부는 A병원에 대해 2007년 10월 2006년 12월부터 8개월치 진료분을 대상으로 현지조사를 벌여 허위청구 사실을 적발하고 6천여만원 과징금, 의사면허정지 1개월 처분을 통보했다.

요양기관은 요양급여기준규칙상 입원환자에게 필요한 약제를 직접 구입해 원내처방해야 하지만 일부 환자에게 원외처방전을 발행, 보호자나 간병인이 약국에서 조제를 받아 투여해 왔다는 게 복지부의 처분 이유 중 하나다.

K원장은 “입원환자 중 일부는 인근 요양원에서 요양을 받고 있다가 잠시 입원했는데, 이들에게 특정 의약품인 혈압, 당뇨약이 필요했다”면서 “하지만 원내에서 이들 약품을 취급하지 않아 급박한 환자들에게 원외처방전을 발행하게 된 것”이라고 반박했다.

또 K원장은 “약사법상 의사는 원외처방전을 발행해 약사에게 조제하게 할 수 있는 선택권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K원장은 원외처방전 발행으로 인해 인근 약국이 공단으로부터 지급받은 약제비까지 부당청구금액에 합산해 과징금 총액에 1300여만원을 포함시킨 것은 부당하다는 주장을 폈다.

이에 대해 법원은 원칙적으로 의사가 처방전을 발행해 약사 및 한약사로 하여금 입원환자를 위한 조제를 하도록 하는 것 자체가 금지된다고 보이지는 않는다고 판단했다.

그러나 법원은 “요양기관은 복지부가 특별히 정하는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한 약제와 치료재료를 직접 구입해 환자에게 지급함이 원칙”이라며 부당청구에 해당한다고 보는 게 상당하다고 결론 내렸다.

법원은 복지부가 A병원의 부당청구금액을 산정하면서 원외처방약제비까지 포함시킨 것 역시 위법하다고 볼 수 없다고 판결했다.

법원은 A병원이 내원일수를 부풀려 청구하고, 입원 기간 중 실제 외래진료를 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외래 진료를 받은 것처럼 원외처방전을 발행해 허위로 진찰료 등을 공단에 청구했다는 게 복지부의 처분에 대해서도 정당하다고 못 박았다.

관련기사

정책 기사

댓글 3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 그럼뭐야 2009.10.20 10:02:51

    된다는 말이야 안된다는 말이야
    원외처방 특별히 문제없다. 그런데 실사나와서 과징금 매기면 그냥 내라. 이말인가?
    차라리 입원환자 원외처방 못하게 법령으로 못박아라

  • 개나라판사 2009.10.19 14:52:00

    그래서 면허정지라고??
    정말 어이없다.
    말이 되는 짓거릴 해야지

    조만간 실사하는 인간말종 복지부 색퀴들 머리와 몸통이 분리되는 일이 일어나겠다.

  • 스누굴리 2009.10.19 13:42:40

    법리 적용이 이상합니다
    법리가 이상한데요, 약사법에 있어서 원칙적으로 입원환자의 원외처방이 금지된다고 보이지는 않는다 그런데 특별히 복지부가 따로 정하지않는한 원내투약이 원칙이라는 근거는 어떤 법을 말하는 건가요? 요양급여기준규칙이라면 약사법보다는 하위법령일텐데 법 적용에 위 아래도 없나요? 그럼 원내에 미구비약이 시급히 투여되어야할 때는 환자를 전원하여야 하겠고 약 공급도매상이 시간이 늦어서 제때 투여를 못해 환자상태가 나빠졌을 때는 누가 책임지는 건가요? 원외처방으로 인해 의료기관이 얻는 이익이 전혀 없음에도 불구하고 원천적으로 금지하여야할 이유가 있나요?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