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소연 "로라타딘 등 10개 전문약, 일반약 전환"

이창진
발행날짜: 2011-09-22 12:10:28
  • 복지부에 요구…"해외에서도 비처방 의약품으로 사용" 주장

[메디칼타임즈=] 시민단체가 항히스타민제 '로라타딘' 등 10개 전문의약품의 일반의약품 전환을 요구하고 나섰다.

녹색소비자연대 녹색시민권리센터(이하 녹소연)는 22일 "약사의 복약지도와 안전관리를 통해 복용이 가능한 10개 전문의약품을 일반의약품으로 재분류할 것을 보건복지부에 요청했다"고 밝혔다.

녹소연이 복지부에 요청한 의약품 재분류 신청 제품 목록.
녹소연의 재분류 신청 의약품은 ▲항히스타민제:로라타딘(제품명:알러타딘정, 클라리틴시럽) ▲항히스타민제:에바스틴(에바스텔정) ▲항히스타민제:메퀴타진(프리마란정, 프리마란시럽) ▲위장약:시메티딘 200mg(싸이메드정) ▲위장약:돔페리돈(마라돈정) 등이다.

또한 ▲위장약:니자티딘 75mg(제품명:자니틴정) ▲안약:클로람페니콜(비씨엠 점안액) ▲손발톱 무좀치료제:아모롤핀(로세릴네일라카, 로레릴크림) ▲진단시약:칸디다질염 진단키트 ▲진단시약:오컬텍에프오비 테스트 등 10개 품목이다.

녹소연측은 "의료기관 방문에 따른 비용을 줄이면서 효과적으로 활용 가능한 의약품을 선정했다"면서 "해외에서도 비처방 의약품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녹소연은 지난 6월에도 사후피임약인 '노레보원정' 등 10개 전문의약품을 일반의약품으로 재분류할 것을 복지부에 요청한 바 있다.

병·의원 기사

댓글 5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 ㄴㅇㄻㄴㅇㄹ 2011.09.23 13:10:00

    당뇨병고시 혈압약 고시 위장약 고시 콧물약 고시를 통해서 50년전 50원짜리 약을 쓰라고 하면서
    왜 약국은 부작용도 없다? 당연히 부작용이 없을수 밖에. 그러면 부작용이 없으면 약국은 왜 가냐? 그냥 수퍼나 편의점 갈일이지. 이런식으로 눈가리고 아웅하는 짓거리들은 식약청 약대출신놈들과 소위 시민단체라고 하는 녹소연 약대 교수들 패거리들이 짓거리를 서슴지 않고 벌여왔다.

    1.콧물약 고시를 알아보자. 의사들에게는 50원짜리 페니라민을 안쓰면 허위부당청구가 된다. 그러다보니 억지 춘향격으로 알레르기성 비염 코드를 넣어서 2세대 지르텍 3세테 엘트리진을 쓰고 있는 데 너무나도 황당 스럽다. 과거 시절에 소주 1병에 콧물약을 먹고 사망했다는 보도자료가 있는데 의사들에게는 위험 천만한 졸리는 1세대 50원짜리 약을 강제하면서 안쓰면 허위부당청구 헛소리들을 해대고 약국에서는 부작용도 없는 약이라면서 국회의원이나 정치인 정부관료들 속여대고 있으니 약국단체 니들 속을 알겠다. 항히스타민 에바스틴은 300원자리 약물이다.

    2,그리고 오메프라졸은 2000원짜리 약물이고 녹소연이 주장한 니자티딘은 400원짜리 약물이라는 것인데 문제점은 의사들이 75미리그램짜리 두개를 쓰면 저배수 처방이라고 하면서 헛소리들을 해대고 약국에서는 안전한 약이라고 하면서 저배수 처방도 맘대로 할수 있는 소위 최첨단 4세대 약물을 달라고 하는 것이 얼마나 가관이면서 웃기는 일일 것인가?

    게다가 의사들은 50년전 50원짜리 약물쓰라고 하면서 약국이 무슨 통뼈라고 2000원짜리도 모잘라서 400원짜리 1세대 타가메트 50원짜리의 8배 약물을 약국단체가 일반약 전환으로 바꿔달라고 하니 기가 차서 말이 안나올 지경이다.

    이런때를 대비해서 전가의 보도로 쓸려고 시민단체 만들었어라.
    3.아모롤핀은 2만원짜리 고가약물임에는 말할 것도 없다. 왜들 청정하다던 경실련 간호사나 녹소연 약국 사람들은 이런 내놓고 장사하겠다는 짓거리를 내놓고 하겠다는 것인지 참으로 궁금스럽다.

    게다가 사후 피임약도 2만원짜리 고가약물이고 더더군다나 병의원에 허가권도 안주면서 약국이 무슨 통뼈라고 약품 독점을 하겠다는 말인지 참으로 궁금스럽다.

    그리고 진단시약도 웃기는 것이 산부인과 전문의도 아닌 놈들이 내과나 외과도 아닌 놈들이 진단 시약을 가져가겠다는데 의료장비에 대해서 약국은 신고가 없어도 된다는 약사법이 웃기다는 것이다. 의사들은 신고를 해야 하고 세금을 내야 한다는 것이다.

  • ㄴㅇㄻㄴㅇㄹ 2011.09.22 15:00:06

    고가약 약값 비교. 그리고 진단 시약을 왜 노릴까?
    로라티딘- 300원
    에바스틴 - 300원 의사들은 페니라민 1세대 50원짜리를 쓰라고 강권받고 있다. 약대출신들이 운집한 신약청에서 심평원 고시를 만들었다고 한다. 무엇을 어쩌자는 말인가?

    니자티진 75미리그램 - 200원짜리 약물이다. 하지만 위산억제제에는 타가메트를 위시해서 니자티딘 4세대까지 나온다. 하지만 50년전 50원짜리 약물을 쓰라는 형국에서 약국에서는 4세대 400원짜리 약물을 가져가겠다고 하니 무엇을 어쩌자는 말인가? 탈세도 하고 국민들에게 바가지도 마음대로 씌우겠다는 말이다.

    진단 시약을 가져가겠다는 말은 약사법을 보면 약국은 의료기기를 마음대로 신고 없이 써도 된다. 의사들만 의료기기를 취급할때 신고를 해야 한다는 말인데 산부인과에서 진단시약을 마음대로 쓰면 안되고 약국에서만 독점하겠다는 의도인지 참으로 궁금스럽다.

    아모롤핀은 2만원짜리 약물이다.

  • kjcljy 2011.09.22 13:52:25

    속이 너무 보인다.
    다른것 다떠나서 가격만 생각하면 진정한 소비자 단체라면 오히려 상기 약품의 일반약 전환을 반대해야 한다.일반약이기 때문에 병원에서 처방을 못받는 경우 몇배의 약값과 고무줄 조제료를 약국에 ㅅ환자는 지불 해야 한다.
    그리고 지난번 부터 보면 몇가지 끼워넣으면서 은근히 잘팔리고 고가(오마코,노레보등)인 약들을 일반으로 하자고 하는구나.너무한다 녹소연 드러내놓고하니 금방 알잖아.

  • ㅁㄴㅇㄻㄴㅇㄹ 2011.09.22 13:45:26

    녹소연 관계자 출신성분을 공개해주시기 바랍니다. 당연히 약대 교수출신이죠, 의사들은 50년전 50원짜리
    약을 강제하면서 약국에서는 300원짜리 로라타딘을 쓰라는 나라가 한국입니다.

    복지부가 뭔 권리로 약국에 비싼약을 일반약으로 강권합니까? 그리고 왜 의사들에게는 싸구려 약을 안쓰면 삭감질이죠. 이 작품이 약대출신들이 운집한 식약청에서 이 짓거리 합니까?

    누구를 위한 일반약 전환입니까?

    비싼약을 일반약으로 전환하면 누가 이익을 보죠. 대형약국이죠. 바가지를 강제로 씌우겠다는 이 회괴한 짓거리를 시민단체 녹소연이라는 단체가 하고 있읍니다.

    때져 잡읍시다.

  • ㅁㄴㅇㄻㄴ 2011.09.22 13:37:17

    왜 비싼약만 탐을 낼까? 복지부에서는 50년전 50원짜리 약을 고집하는데.
    참으로 우습다.

    로라타딘 이약이 얼마인줄 알아? 약 하나에 2000원정도 할 걸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