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큼 다가온 헬스케어 시대 병원은 뭘 준비할까

발행날짜: 2017-10-14 05:00:55
  • 미래의료정책포럼서 미래의료 전망…정보 표준화 중요성 강조

[메디칼타임즈=이지현 기자] 블루투스를 연결해 혈당을 측정하고 휴대용 재활치료 장비를 이용해 집에서 치료를 받는 시대. 디지털 헬스케어 시대가 이미 현실로 성큼 다가왔다.

사립대의료원협의회와 대한사립대학병원협회는 13일 오후 서울웨스턴호텔에서 '4차 산업혁명과 병원경영'을 주제로 미래의료정책포럼을 개최, 향후 병원계 변화를 전망해보는 자리를 마련했다.

임영진 회장
이날 사립대의료원협의회 임영진 회장(경희의료원장)은 "지난달 말 대통령직속 4차 산업혁명위원회가 출범, 변화가 예상된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최근 대통령 주재로 1차 기본 정책방향 회의에서 의료분야 경제효과는 약 60조~100조원 규모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면서 "이번 포럼을 통해 병원계는 어떻게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해야 하는 지 고민해볼 때"라고 덧붙였다.

이날 포럼에서는 디지털 헬스케어가 얼마나 진행됐는지 향후 어떤 준비를 해야하는지에 대해 짚어봤다.

서울와이즈요양병원 김치원 병원장은 "디지털 헬스케어는 일상 생활 속에서 진단, 검사를 받고 치료까지 가능하다"면서 "더 나아가 질병발생을 예측하는 것도 가능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가령, 손목시계를 통해 환자의 몸 상태를 수시로 체크해 '5분 후에 심근경색이 생길 것이니 지금 응급실로 가세요'라는 질병 예측까지 가능한 시대가 온다는 얘기다.

김 병원장은 "실제로 IBM왓슨과 메디트로닉은 협업을 통해 지속형 혈당 측정계를 통해 최대 3시간 전에 저혈당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했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또한 그는 디지털 헬스케어가 수가 체계에도 변화를 줄 수 있다고 봤다.

그는 "만약 단순 영상진단에 대해 영상의학과 전문의 가산이 폐지되면 병원들은 단순 엑스레이 판독에 대해 인공지능을 도입, 타과 전문의에게 맡길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즉, 수가를 새로 만드는 것 이외 기존의 수가 변화가 인공지능과 같은 CAD도입을 촉진하는 등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전문가들은 디지털 헬스케어 시대를 맞아 정보표준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미국의 경우 병원간 정보호환 40%에 달하지만 한국은 8%에 그치는 수준.

주제발표를 맡은 창조경제연구회 이민화 이사장도 "정보표준화가 곧 디지털 헬스케어의 기반이 될 것"이라고 했다.

임영진 회장은 "미래정책포럼 주제는 의료계 현안에 대해 다뤘지만 올해는 장기적인 시각으로 미래를 준비하자는 차원에서 '디지털 헬스케어'를 다뤘다"면서 "병원계에도 상당한 변화가 예상되는 만큼 철저히 준비하고 대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병·의원 기사

댓글 3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 어이가없네 2018.07.10 09:23:21

    말도 안되는 소리하고 있네...
    저수가 개선한다면서 수가를 올려줄순 없다니 무슨 말도 안되는 소리를... 지금까지도 어렵고 어려워도 그냥저냥 비보험으로 어떻게든 유지했는데 수가에 적용되는건 저수가로 병원 유지도 못하게 해놔서 의료관계되있는 서민 사무직이나 간호조무사나 간병사 물리치료사 등등 박봉월급 받으면서도 저수가로 병원 어려워지면 짤리고 병원 문닫고 하는 와중에 저수가인 보험을 더 늘려서 국민들에게 보장성을 확대하겠다고? 그렇게 되면 의료기관 다 저수가로 망할꺼고 대형병원만 살아남겠지만 우리나라 서울대병원도 적자인건 아나? 그러니까 탁상공론이란거고 머리가 없는 사람이 정책을 짠다고 아우성을 듣는거고 이미 알고 있으면서도 개선안해주는건 국민 표심을 보장성 강화로 어떻게 당선이 되었으니 말을 번복할순없고 무조건 의료기관 나쁜놈 만들어서 의료기관이 적폐고 의료기관이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책임지니 희생을 해야한다는 말같지도 않은 소리하고 있는게 진정한 적폐가 아니면 뭘까...

  • 그래프 2018.05.16 16:16:29

    보기에는
    그래프가 보기에는 좋은데 저 녹색선은 정부가 원하는대로 통제할 수 있는 선이 될 것이고 여차하면 원가이하로 낮추는것도 못할 것이 없지. 지금까지도 그래왔고... 정부야말로 비급여를 없애겠다는 급진적인 논의보다 적정수가를 보장하고 일정기간 신뢰를 쌓는 동시에 급여화 후에도 의료계의 희생을 함부로 강요하지 못하도록 하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 의지를 보여준 후 점진적으로 추진해야 하는 것 아닌가? 말뿐인 약속은 아무 소용이 없다는걸 오랜기간 뼈저리게 깨달아온 의료계이다.

  • 저수가 2018.05.16 16:09:50

    개선
    저수가는 개선할건데 수가를 올려준다는 말은 아니다??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