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calTimes
  • 병·의원
  • 대학병원

"생존율 60%까지 올린 에크모…언제까지 삭감만 할텐가"

발행날짜: 2016-01-07 05:10:55

삼성서울병원 에크모팀 조양현 교수

"삼성서울병원 에크모팀의 생존율이 60%까지 올라갔어요. 세계적으로도 꼽히는 수준이죠. 하지만 여전히 절반은 삭감을 당해요. 살수 있는 환자에게 에크모 쓰는 것이 잘못인가요?"

삼성그룹 이건희 회장이 시술을 받으면서 국민적인 관심을 받고 있는 에크모(ECMO) 시술. 하지만 여전히 고비용이라는 이유로 삭감의 주 타겟이 되고 있다.

오죽하면 에크모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환자가 사망하면 무조건 삭감이라는 말까지 나온다. 실제로 환자 사망시 10건 중 8건 이상이 삭감당하는 것이 현실이기도 하다.

우리나라 에크모 치료의 역사로 불리는 삼성서울병원. 그중에서도 가장 많은 시술을 담당하고 있는 조양현 교수는 이러한 현실이 너무나 안타깝다고 말한다.

"에크모 효용성 이미 증명…심사기준 유연성 갖춰야"

조양현 교수는 6일 "지난 2003년 이영탁, 성기익 교수팀이 우리나라에 에크모를 상륙시킨 이래 삼성서울병원은 에크모의 역사를 써왔다"며 "최근에는 시술 건수가 1000례를 돌파하며 새로운 역사를 쓰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조 교수는 "이처럼 에크모의 효능이 인정되고 있는데도 고비용이라는 이유로 지속적인 삭감이 이뤄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며 "이제는 비용효과성을 인정할 때가 됐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삼성서울병원은 지난 2014년 흉부외과와 중환자의학과, 심상내과 교수들로 구성된 다학제 에크모팀을 만들어 시술와 유지, 제거, 제거 후 관리까지 다학제 진료를 진행하고 있다.

이로 인해 현재는 생존 퇴원율 60%를 기록하며 세계 유명 병원에도 뒤쳐지지 않을 만큼의 실력과 증례를 쌓아가고 있는 상황. 하지만 여전히 심평원의 벽은 높기만 하다.

조양현 교수는 "세계적인 수준을 유지하며 환자들을 살려내고 있는데도 여전히 적게는 30% 많게는 절반 정도는 수가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며 "그러면 우리가 살려내 정상 생활로 돌아간 환자들은 어떻게 설명할 것인지 궁금하다"고 반문했다.

그렇기에 그는 하루 빨리 에크모에 대한 정부의 인식 제고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의 판단을 존중해 심사기준을 유연하게 하되 질 관리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방식으로 가자는 제언이다.

조 교수는 "고위험 환자에게 쓸 수 밖에 없는 에크모를 평균 위험도에 초점을 맞춰 심사를 진행하면 삼성서울병원과 같은 중환자 중심의 병원은 무더기 삭감을 피할 수가 없게 된다"며 "전문가들의 임상적 판단을 존중하되 무분별한 시술을 막기 위한 질관리를 하는 방안을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에크모도 적정성 평가 등을 통해 병원별 수준 차이와 위험도 등을 감안해 질 관리를 유도하고 이에 맞춰 심사기준도 유연성을 갖출 필요가 있다는 의견인 셈이다.

"에크모 저변 여전히 바닥…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필요"

이와 함께 에크모의 저변을 확대하기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노력도 필요하다는 것이 조 교수의 주장이다. 살 수 있는 환자가 인프라가 없어 맥없이 사망하는 현실은 바꿔야 하지 않겠냐는 것이다.

응급 에크모 환자를 이송중인 조 교수(사진 왼쪽 두번째)
조양현 교수는 "응급 SOS를 받고 지방 대학병원이나 종합병원에 나가보면 정말 눈물이 날 만큼 안타까운 상황이 수도 없이 벌어진다"며 "조금만 일찍 에크모를 달았다면 멀쩡히 걸어나갈 수 있는 환자가 반신불구가 되고 사망하는 경우가 태반"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삼성서울병원은 최근 '모바일 에크모팀'을 구성하고 지방이나 종합병원에서 들어오는 응급 요청에 대응하고 있다.

에크모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곳에서 SOS가 들어오면 즉시 헬기로 삼성서울병원 에크모팀이 이동해 시술을 진행하거나 긴급 전원을 하는 시스템이다.

조 교수는 "모바일 에크모를 시행한 이래 매년 20건 이상씩 긴급 요청을 받고 있다"며 "헬기와 전용엠뷸런스 기름값만 연간 30억원이 넘어가고 있는 상황"이라고 털어놨다.

그는 이어 "사회 공헌 차원에서 삼성그룹이 결단을 내지 못했으면 어느 병원에서 수십억원의 적자를 감수하면서 이 일을 할 수 있겠느냐"며 "우리나라 에크모 저변의 현실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하루 빨리 정부가 에크모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적극적으로 정책적 지원을 해야 한다는 것이 조 교수의 주자이다.

적어도 권역응급센터 등에는 에크모팀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닥터헬기 등을 통한 전원 체계라고 제대로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다.

조 교수는 "에크모는 초기 투가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데다 숙달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필요한 시술"이라며 "전국 곳곳에 에크모팀이 구성되는 것을 바라기는 무리가 있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결국 얼마나 빨리 에크모팀이 있는 곳으로 전원을 하는지가 환자의 생사를 결정하는 것"이라며 "적어도 정부에서 이같은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송 수단을 마련하는데까지는 힘을 쏟아줘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