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스피탈리스트 즉, 입원전담전문의가 연착륙하려면 일선 병원에 '일반내과' 설치가 우선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일반내과를 별도의 세부 분과로 인정하자는 얘기다.
서울대병원 허대석 교수(혈액종양내과)는 최근 전화 인터뷰를 통해 "호스피탈리스트 지원자가 늘어나고 제도가 자리를 잡으려면 행정적 틀이 필요하다"면서 일반내과 설치 필요성을 제기했다.
허 교수는 앞서 국내 호스피탈리스트 제도 필요성을 주장해 온 터라 그의 주장은 꽤 설득력이 있다.
특히 각 병원마다 호스피탈리스트 채용에 어려움을 겪으며 뾰족한 해답을 찾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 더욱 눈길을 끈다.
그는 먼저 "지금까지 병동에 환자는 전공의가 봤다. 교수들은 자신의 환자를 전공의에게 지시를 내려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고 챙겼다. 호스피탈리스트를 전공의 쯤으로 여겨서는 제도가 정착할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앞으로 '내 환자'를 전공의 대신 호스피탈리스트가 챙긴다는 정도로 생각해선 새로운 직종이 탄생하기 어렵다"라면서 "개념을 분명하게 정리하지 않으면 자칫 무늬만 다른 전임의로 전락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허 교수는 이를 차단할 수 있는 최적의 방법을 내과 세부분과로 '일반내과'를 설치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현재 각 병원에는 호흡기내과, 심장내과 등 다양한 분과가 있듯 일반내과도 하나의 분과가 되고 직제상에 명확한 틀을 갖춰야 지원자도 직업적 안정성을 느낄 것이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그는 "호스피탈리스트를 하나의 분과로 인정해주고 그에 걸맞게 행정적 틀도 제시해줘야 한다"면서 "병원 내 변화가 있어야 지원자들도 이 제도가 지속가능하다는 신뢰감을 가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최근 시범사업에 나선 각 병원들은 당장 전공의 빈자리를 채우기에 급급할 뿐 새로운 직군을 만드는 것에는 진정성을 느낄 수 없다"고 꼬집었다.
각 병원들이 호스피탈리스트 구인난으로 발을 동동 구르고 있지만 정작 진정성 있는 해결책은 제시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또한 그는 "외래는 각 분과별로 전문성을 높이는 반면 병동은 입원환자가 갖는 복합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의료진이 필요하다"면서 "입원환자를 통합적으로 진료하는 것을 새로운 전공분야로 바라봐야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이어 "내과 교수와 호스피탈리스트가 갑과 을, 혹은 상하관계가 될 경우 이 제도는 수련기간만 연장하는 꼴"이라면서 "입원전담전문의를 파트너로 인식, 지시가 아닌 협의하는 자세를 가져야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