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이 3일 오후 고(故) 백남기 씨 사망진단서와 관련해 '병사'라는 기존 입장을 고수한 반면 현직의 서울의대 교수들은 '외인사'로 상반된 의견을 제시해 주목된다.
서울대병원-서울의대 특별조사위원회는 3일 오후 기자회견을 열고 고인의 주치의인 백선하 교수(신경외과 과장)의 결정을 인정, 기존의 '병사'결정을 바꾸지 않겠다고 밝혔다.
특별조사위 이윤성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나였다면 외인사로 표기했을 것"이라고 밝히긴 했지만 '병사'라고 결정한 주치의의 판단을 바꿀 순 없다고 덧붙였다.
사망진단서를 환자 주치의의 판단을 최우선 해야하는 만큼 특위를 꾸렸다고 하더라도 그의 결정을 막무가내로 바꿀 순 없다는 얘기다.
그렇다면 현직의 서울의대 교수들은 이 사건을 어떻게 보고 있을까.
메디칼타임즈가 지난 3일 복수의 서울의대 교수에게 전화인터뷰를 통해 의견을 물어본 결과 고 백남기씨의 사인은 '외인사'라는 데에는 이견이 없었다.
익명을 요구한 서울대병원 A교수는 "누가 봐도 외인사다. 1년이 지나고 2년이 지났더라도 사인은 사망에 이르게 한 결정적인 원인으로 보는 게 맞다"고 봤다.
또 다른 서울대병원 교수도 "사회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사건인데 사망진단서를 이 따위로 작성했다는 것을 믿을 수 없다"면서 실망스러움을 드러내기도 했다.
사망진단서의 가장 기본적인 원칙은 사망의 직접적인 원인을 작성하는 것. 사람은 대부분 심장, 폐 등 장기부전이 생기면서 사망에 이르기 때문에 사인은 애초의 원인이 무엇이었느냐를 따져야 한다는 게 공통된 의견이다.
기초의학 분야의 서울의대 B교수 또한 "이처럼 사망진단서를 작성한다면 외인사는 거의 없을 것이다. 외상으로 인해 2차적인 합병증이 발생해 사망했다면 입원 기간과 무관하게 외인사"라고 말했다.
이처럼 현직 서울의대 교수의 눈에도 백남기 씨는 외인사로 봐야한다는 의견이 절대적이었다.
하지만 사회적 이슈로 부각된 것을 두고는 "부끄럽게 생각하고 이같은 일을 반복하지 않도록 해야한다"라는 의견과 함께 "여론이 지나치게 확대해석 하고 있다"라는 미묘한 시각차를 보이기도 했다.
서울의대 C교수는 "서울대병원 입장에선 이번 사태를 복기하고 앞으로 이런 일을 반복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고민해봐야하는 시점"이라고 했다.
향후에도 정치적인 사안에 대해 공식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는 얘기다.
반면 D서울의대 교수는 "이 사안이 지나치게 확대되면서 논의의 초점이 흐려지는 게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그는 "해당 주치의 혹은 담당 교수의 개인적인 판단만으로 감당하기에는 정치적으로 너무 큰 사안"이라면서 "외부의 압박 보다는 개인적으로 부담을 느껴 병사로 기재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서울대병원 E교수도 "개인적인 추측이지만 외부의 압력이 있기 보다는 워낙 정치적인 사건이라 오히려 외인사로 기재하는 데 부담을 느꼈을 수 있다"고 추측하기도 했다.
현직 서울의대 교수들은 무엇보다 이번 사안으로 서울대병원에 대한 국민적 신뢰감이 추락한 것에 대해 안타까워했다.
E교수는 "만약 원칙대로 외인사로 기재했으면 논란은 됐어도 국민적 신뢰는 얻을 수 있었을텐데 안타까운 일"이라면서 "국민들이 서울대병원조차 정치적일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된 것 같아 씁쓸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