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특별법, 내과 3년 단축이 현실화되면서 더욱 시급한 과제로 떠오른 호스피탈리스트(입원전담전문의).
보건복지부는 호스피탈리스트 시범사업 참여 의료기관을 추가 공모, 제도 활성화에 군불을 지피고 있다.
복지부는 지난 9일부터 내달 3일까지 상급종합병원과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호스피탈리스트 시범사업에 참여를 원하는 의료기관의 신청서를 받는다.
복지부는 전문의 채용 예정자 유무, 사업계획서 적정성 등을 고려해 10개 의료기관을 추가로 선정할 예정이다.
추가 공모에 참여해도 기존 참여 의료기관과 동일하게 오늘 3월부터 시범사업에 참여하게 된다.
이처럼 호스피탈리스트 채용에 훈풍을 기대하는 복지부의 바람과 달리 일선 의료기관은 냉담한 반응이다.
복지부가 제시한 지원 기준인 '전문의 채용 예정자'를 구하는 일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300병상 규모의 종합병원장은 "대학병원조차 호스피탈리스트를 구할 수 없는데 종합병원에 지원자가 있겠느냐"라면서 "시범사업 참여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결국 호스피탈리스트 채용 조차 대형병원 중심으로 운영하는 게 아니냐는 볼멘소리와 함께 정부의 지원에 대해서도 아쉬움을 드러냈다.
실제로 서울대병원 등 지방 국립대병원은 상당수 호스피탈리스트 채용에 수월한 반면 여전히 지원자가 전무한 중소 대학병원 혹은 종합병원들의 상대적 박탈감이 크기 때문이다.
지방의 모 대학병원 교수는 "소위 빅5병원이라는 대형병원과 지방 대학병원간 격차는 더 심각해지고 있다"면서 "해가 바뀌면 나아질 것 같았지만 여전히 지원자를 찾긴 힘들다"고 토로했다.
그는 이어 "정부가 추가 공모에 나서도 신청할 수 있는 의료기관은 제한적일 것"이라면서 "설령 채용한다고 해도 '당직의'가 아닌 제도 취지에 맞는 인력인지도 의문"이라고 덧붙였다.
수도권에 위치한 종합병원장은 "호스피탈리스트 채용을 하려면 결국 연봉을 높게 책정해야 하는데 정부는 이에 대한 지원방안은 없이 일단 시작하면 수가를 주겠다는 식"이라면서 "매번 '선(先)희생 후(後)보상' 정책으로 병원 운영은 궁핍해지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