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학연 모두 4차 산업혁명이 보건산업계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이란 전망에는 의견을 같이했다.
하지만 늘어날 일자리를 감당하기엔 현재의 인재 양성 프로세스가 불충분하다는 점에서 학계에선 미래 수요에 대비한 인력 보충 대비책 마련을 주문하고 나섰다.
25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보건산업 일자리 토론회'를 개최하고 정부의 제약·바이오·의료기기산업의 육성 방향과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보건산업 분야의 일자리 창출 효과 등을 진단했다.
먼저 원희목 제약바이오협회 회장은 '제약·바이오 산업의 일자리 창출 효과' 발제를 통해 제약산업이 미래 일자리 창출의 메카임을 재확인했다.
그는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제약산업 종사자는 2만여명, 27.5%가 증가했다"며 "총 9만 4510명을 고용하며 연구개발, 생산 및 품질관리 분야 고용 비중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국내 제약산업 고용인원은 정부 목표 생산액인 50조원 달성시 총 종사자 16만 7753명 고용 창출이 가능하다"며 "제약산업은 성장 가능성이 높은 산업으로 파이가 커질수록 고용 창출 기여도가 큰 만큼 적극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제약기업의 일자리 창출이 연고나 산업에서의 연쇄 일자리 창출로 이어진다는 분석도 이어졌다.
원희목 회장은 "제약바이오 산업에서 일자리가 창출되면 개발, 허가, 생산, 유통, 판매에 걸쳐 유관 산업 일자리가 생긴다"며 "미국 제약기업의 직접 고용은 85만 4천명이지만 간접고용은 171만명, 유발고용 188만명을 합쳐 총 444만 6천개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고용관련 제약산업 지표에 따르면 매출 1조원당 5400명에서 6100명의 고용유발 효과가 있다"며 "4개의 블록버스터급 신약이 개발될 경우 27조원대 시장 확대로 15만명에서 17만명까지 고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어 "전세계적으로 고용없는 성장 구조가 고착화되고 있지만 고용과 성장을 동반할 수 있는 게 제약산업이다"며 "열악한 환경에서 산업계가 고분분투하며 신약개발과 해외진출, 라이센스 아웃의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는 점을 감안해서 정부가 마중물 역할을 해달라"고 촉구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이윤태 정책지원본부장 역시 4차 산업혁명이 보건산업의 고용 창출을 촉진할 것이란데 의견을 같이하면서 이날 토론회의 관심사는 일자리 빅뱅의 인력 수요를 감당할 여건 조성으로 흘러갔다.
토론 패널로 나선 백롱민 서울대의대 교수는 "정부 기조와 산업방향을 보면 그동안 디지털과 헬스케어의 접목에만 관심이 컸다"며 "이제는 공급의 문제도 생각해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그는 "4차 산업혁명으로 일자리가 창출된 이후엔 어떻게 인력을 다 채울건지 고민해야 한다"며 "일자리 증가 속도만큼 빠르게 융합된 기술, 지식을 가진 인재를 보충할 수 있는지 고민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어 "현재의 대학원 교육이 4차 산업혁명에 부합하는 융합 교육을 하는지 잘 모르겠다"며 "데이터 과학 연구자들이 인력 양성을 위한 대학원 설립에 노력하고 있지만 학생 모집 인원 부족 등의 문제로 제자리 걸음만 걷고 있다"고 우려했다.
신산업 분야 일자리 창출과 보조를 맞출 인력 공급이 적기에 이뤄지지 않는다면 '일자리 창출'만으론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게 그의 지적.
송시영 연세대의대 교수 역시 거들고 나섰다.
송 교수는 "미래 일자리는 중장기적인 준비가 필요한 분야"라며 "실제 보건산업 인력 양성 대학원을 만드려고 노력했지만 규제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귀띔했다.
그는 "스탠퍼드 연구단지 중심으로 형성된 실리콘 밸리의 배경에는 대학 주변을 지원한 금융권의 역할이 컸다"며 "이런 금융권의 자금과 대학의 연구 결과가 합쳐져야만 인력 창출의 인큐베이터가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연세대 의대에서 성적 등수를 폐지하고 패스, 논패스 제도를 도입하자 학생들 중에서 창업을 하겠다는 학생 창업자들이 몇몇 나왔다"며 "바이오산업은 의료 현장을 시작으로 약학, 엔지니어링 등 다양한 학문이 다 융합되는 것이기 때문에 학계에서의 인재 양성과 방향 설정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