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calTimes
  • 병·의원
  • 대학병원

"블록체인 의료데이터 장터만든다? 뜬금없는 얘기"

발행날짜: 2018-03-13 12:00:58

서울의대 김주한 교수 "블록체인은 공개장부, 건강 프라이버시와 상극"

"블록체인은 환자 중심 데이터 통합과 소비자 주도형 의료체계 구축을 가능하게 할 것."

의료계에 블록체인을 도입할 경우 병원과 의사, 환자, 보험자 등으로 분절된 '정보체인'을 연계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서울의대 김주한 교수
서울의대 김주한 의료정보학 교수(신경정신과)는 대한병원협회지 최근호를 통해 블록체인의 의료계 도입 가능성에 대한 의견을 내놨다.

블록체인은 탈중앙화 된 분산 환경에서 거래내역을 '블록'으로 묶고 '체인'으로 위변조를 불가능하게 고정해 '이중지불'의 문제와 '단일 취약점' 문제를 해결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의료계에서는 최근 블록체인 기술이 의료기록의 '원본성 보장'과 의료 물류정보, 의료보험 청구정보, 임상시험 및 연구정보의 '투명성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고대의료원을 주축으로 정밀의료 사업단이 추진 중인 '클라우드 기반 정밀의료 병원정보시스템(P-HIS)' 구축사업에도 이 같은 블록체인 기술 접목이 시도되고 있다.

다만, 김주한 교수는 '건강기록과 의료데이터를 블록체인에 올리면 데이터가 통합되고 정보교류가 가능하다'는 의견에는 의문을 제기했다.

김 교수는 "향간의 주장은 기초도 모르는 넌센스"라며 "클라우드나 블록체인에 올리는 것은 의료데이터의 구조화나 의미론적 일치에 어떠한 영향을 주지 못한다. 의료에서 데이터 거버너는 체계의 구축은 클라우드 정도로 우회 가능한 문제가 아니다"라고 꼬집었다.

이어 김 교수는 "블록체인으로 의료데이터를 사고파는 장터를 만들겠다는 구상은 더 뜬금없다"며 "스마트 계약으로 권리 조정은 가능하겠지만 데이터 통합과 상호 운용성 없이는 살 수도 팔수도 없다. 또한 공개장부인 블록체인과 건강정보 프라이버시 보호는 상극"이라고 지적했다.

따라서 김 교수는 블록체인을 의료계에 접목할 경우 환자중심 데이터 통합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병원, 의사, 환자, 보험자 등으로 분절된 정보체인을 온전히 연계할 수 있다"며 "의료시스템 군주인 중앙집중형 의료보험은 굵직한 것에만 수가로 보상할 뿐, 세세한 영역까지 돌보지 않는다. 암호 화폐를 통한 분산형 인센티브는 보험자 비효율성을 타파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김 교수는 "공동체의 세세한 건강 활동을 양방향 네트워크로 촉진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난제였던 의료전달체계 재건도 가능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