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인턴 인력 2000명 정도가 부족할 것으로 본다. 이는 입원전담전문의를 대체인력으로 활용할 것이다. 비용은 건보수가 혹은 국고지원을 통한 지원을 고려하고 있다."
이는 지난 4일 열린 보건복지위 예산안심사 전체회의에서 더불어민주당 권칠승 의원이 의사국시 취소로 인한 의료공백 대책을 묻는 질문에 대한 복지부 박능후 장관의 답변이다.
박 장관의 발언에 입원전담전문의 여론은 또 다시 급격히 악화됐다. 일선 입원전담전문의들은 "전문의에게 인턴 역할을 맡긴다는 발상 자체가 놀랍다"는 반응이다.
당장 입원전담전문의 채용에 애를 먹고 있는 대학병원 보직자들도 "연봉 2억원을 줘도 구하기 힘든데 장관이 나와서 인턴 역할을 시킨다고 하면 누가 지원하겠느냐"며 볼멘소리가 터져나온다.
입원전담전문의를 '대체인력'으로 바라보는 복지부 장관의 이같은 발언은 처음이 아니다. 지난 8월, 의사파업 당시 전공의 공백을 채울 인력으로 입원전담전문의를 언급한 바 있다.
당시에는 교수까지 나서 전공의 공백을 함께 채워주고 있던터라 씁쓸함을 토로하고 말았지만 의사국시 불발로 인한 내년도 인턴 대체인력으로 꼽으면서부터는 회의감에 휩싸이는 분위기다.
특히 지난 2018년도 보건복지부가 입원전담전문의라는 새로운 제도 정착에 앞장서면서 드라이브를 걸었던 것과는 간극이 크기에 더욱 혼란스러운 표정이다.
당시만 해도 의료현장에서 일선 전공의들이 "입원전담전문의는 전공의 5년차가 될 것이다" "전공의와 무엇이 다르냐"고 되물었을때 그들만의 전문영역을 확보하기 위한 별도 수가 마련 등을 제시하며 젊은의사들의 지원을 거듭 독려했다.
이와 더불어 본 사업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피력하며 "정부를 믿어달라"고도 했다. 하지만 2020년 현재 현실은 입원전담전문의 시범사업 기간은 종료됐음에도 본사업 추진은 불투명하고 심지어 복지부 장관은 전문의에게 '인턴' 역할을 강요하고 있는 상황이다.
결국 젊은의사들이 우려했던 명함만 '전문의' '교수'일뿐 업무는 '전공의'와 별반 다르지 않은 상황이 조만간 펼쳐질 예정이다.
이미 의료현장에선 입원전담전문의들의 활약이 대단하다. 환자들의 만족도는 물론이고 동료 의사, 간호사의 만족도 또한 매우 높아 병동에서 꼭 필요한 존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하지만 정부가 이들을 바라보는 시각은 급할 때 땜질할 수 있는 '대체인력'쯤으로 바라보는 듯 하다. 대외적으로는 본사업으로 전환해 별도의 교수 트랙을 만들 수 있도록 돕겠다고 하지만, 최근 일련의 행보로 복지부의 속내를 들켜버린 셈이다. 덧붙여 이는 앞으로 젊은의사들이 입원전담전문의 진로를 선택하는데 장애물로 남지 않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