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년 중에 국산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가능하도록 임상역량을 집중 지원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범정부 지원위원회는 19일 오후 제9차 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지원 계획을 밝혔다.
계획의 요지는 코로나 극복을 위한 치료제 및 백신 개발 지원 금액 확대로 정부는 현장의 애로사항을 반영해 대책을 일부 보완했다는 입장이다.
계획에 따르면, 코로나19 치료제는 기존에 개발된 항체치료제 이외에 경증~중증까지 중증도에 따른 포트폴리오 개발 전략을 마련해 임상 3상 진입이 임박한 전략 품목을 집중 지원한다.
특히 내년에는 국산 1호 백신 접종이 가능할 수 있도록 개발 동향을 고려해 합성항원 백신 등 임상 진행 가능성이 있는 품목을 중점 품목으로 선정하겠다는 뜻도 피력했다.
이를 위해 치료제·백신 개발에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꼽히는 기업의 임상시험 비용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금년에만 약 13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 펀드 등을 통한 지원도 추진한다.
또한 신속․효율적인 임상 지원을 위해 ‘공공백신 임상시험 클러스터’ 구축을 추진하고, 전임상 - 임상 1~3상 - 허가․사업화 등 임상 단계별 전문 인력도 집중 양성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올해 총 2627억 원의 예산을 지원한다. 이는 ‘20년 예산 대비 약 20%(441억원) 증가한 것이다. 또 연구·생산 인프라 구축) 치료제·백신 시험법 등 개발, 생산 기반 마련을 위한 실험 시설·장비 구축 등에 564억 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은 “코로나19 예방접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어도 장기적으로 신종 감염병에 대비할 수 있는 자체 역량을 확보해야 한다"며, “최선을 다해 국산 치료제·백신 개발을 끝까지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올해에는 지난해 만들어낸 치료제, 백신, 혁신형 진단기기 관련 중간결과물이 방역‧의료 현장적용이라는 최종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범정부지원위원회 차원의 지원을 강화해나가겠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국내에서 기술이 충분히 성숙되지 않은 mRNA 백신, 전달체 백신 등 혁신적 기술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지원하여, 향후 신변종 감염병 발생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만반의 준비를 지속해 나가겠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