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calTimes
  • 제약·바이오
  • 국내사

채찍 없이는 의사 신뢰 없다..."제네릭 생산 구조 개선 필수"

발행날짜: 2021-05-26 12:16:13

이삼수 보령제약 대표, 제약바이오협회 웨비나서 현실지적
"제약사 품질 관리 인력 턱 없이 부족…공동생동 제한 급해"

복제의약품(제네릭) 중심의 우리나라 의약품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선 '전 항목 위탁'이 가능한 현재의 구조 전반을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시됐다.

동시에 전체적인 제네릭 품목 수를 줄이기 위해 1+3 공동생동 규제를 조기시행 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이삼수 보령제약 대표는 26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개최한 프레스 웨비나에서 제네릭 제도 개선 필요성을 주장했다.
이삼수 보령제약 대표는 26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개최한 프레스 웨비나에서 '한국 의약품 생산 역량의 현주소'라는 주제로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우선 2019년 제약‧바이오 기업의 규모별 생산액을 살펴보면, 매출 5000억원 이상 업체(5곳)는 전체 제약바이오 기업 중 1% 정도다. 의약품 생산 관련 약 79% 가량이 있는 매출액 300억원 미만 업체가 생산을 책임지고 있다.

즉 의약품 생산의 경우 국내는 사실상 매출규모가 영세한 업체가 대부분을 책임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결국 바이넥스를 필두로 최근 동인당제약까지 연이어 발생하고 있는 제네릭 의약품 불법 제조 사건들이 가장 큰 원인이 됐다는 뜻이다.

이삼수 대표는 "실적이 50억원도 안 되는 회사가 꽤 되는 것으로 짐작된다"며 "공장이 500개이면 공장장은 500명, 품질 및 제조 책임자는 1000명이 필요하며, 공장 당 핵심 인력을 10명씩만 잡아도 5000명인데 체계적인 교육을 받은 인재가 충분한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공장에서 생산하는 품목 수가 매출 5000억원이나 100억원이나 차이가 없기 때문"이라며 "국내는 품질관리 인원이 절대 부족하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이 대표는 생산부터 허가, 판매까지 이르는 일련의 제네릭 관련 제도 등의 전반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소위 말해, 전 항목 위탁이 가능한 현 제도 전체를 개선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대표는 "우리나라는 의약품 개발부터 생산, 판매 등 전 과정을 위탁해 실시할 수 있도록 돼 있다"며 "이 때문에 이를 전부 위탁해주는 제약사들이 존재한다. 일부 항목은 위탁을 주는 제약사가 직접 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개선을 요구했다.

마지막으로 "현재 제네릭 제품의 허가가 너무 쉽게 이뤄지고 있다"며 "공동생동 1+3 제한을 빨리 시행해 품목 수가 더 이상 늘어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