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장기화로 번아웃을 겪고 있는 보건소 의료인력의 이탈을 막고자 보건소당 대대적인 한시적 인력을 지원한다.
또 올해 8월, 보건소 조직·인력 전수조사를 실시해 행정안전부 2022년도 보건소 인력 증원을 추진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는 17일 보도참고자료를 통해 보건소 인력 정신건강 조사 결과와 더불어 지원방안을 제시했다.
보건소 의료인력 지원, 번아웃 최소화
먼저 지원방안을 살펴보면 보건소 의료인력의 업무과중으로 인한 번아웃을 최소화하고자 보건소당 평균 9명의 한시 인력을 지원한다.
앞서 1차 추경을 통해 1,032명(258개 보건소당 4명)을 5개월간 지원한 데 이어 2차 추경을 통해 신규인력(1,290명, 258개 보건소당 5명) 4개월 지원을 추진한다. 여기에 기존 채용 인력(516명, 258개 보건소당 2명)도 2개월 연장한다.
이와 함께 올해 8월 보건소 조직‧인력 전수조사를 실시해 이를 바탕으로 행정안전부 2022년도 보건소의 인력 증원이 추진될 수 있도록 협의해 나갈 예정이다.
또 수당 추가 지원과 보건소 업무 경감을 위한 방안도 추진한다.
올해 1월부터 감염병 대응수당을 신설하고, 7월부터는 중요 직무급 대상을 기존 10%에서 15%까지 지급할 수 있도록 확대했다.
이어 9월부터는 선별진료소 방역인력에 대한 지원 경비도 1일당 1만원씩 3개월간(9~11월) 추가로 지급할 예정이다.
복지부 측은 "업무량 경감을 위해 관련부처에 각종 자료 요구 및 평가를 중단하거나 연기하도록 요청해 보건소의 업무부담이 가중되지 않도록 노력 중"이라고 전했다.
보건소 의료인력, 자살 불안위험군 일반국민의 2배
이처럼 복지부가 보건소 업무 과부하를 최소화하려고 노력하는데에는 이유가 있다.
최근 전국 17개 보건소를 대상으로 6월 23일부터 7월 9일까지 176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보건소 인력 정신건강 조사에서 보건소 의료인력들의 우울감이 극심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보건소 인력의 우울 위험군은 33.4%로 지난 6월에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인 18.1%와 비교했을 때 매우 높았다.
이는 대응인력을 대상으로 실시한 기존의 조사 결과보다도 크게 높은 수치로, 코로나19가 장기화됨에 따라, 우울 위험군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자살생각률도 19.9%로 지난 6월 일반국민 조사 결과(12.4%) 보다 7.5%p 높았으며 불안 위험군은 27.6%로 일반국민(6월, 12.2%) 보다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조사에 참여한 보건소 직원 중 91.1%가 삶의 질이 나빠졌고, 신체건강은 76.4%, 정신건강은 81.1%가 나빠졌다고 응답했다.
이는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하면 수면장애(134→165명), 우울증(105→118명) 등으로 인한 정신건강 악화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더불어 코로나19 업무에 대한 유능감과 자부심을 '느끼지 않는다'고 응답한 비율이 65.1%로, 그렇다(34.9%)라고 답한 비율보다 2배 가까이 높았다.
업무에 대한 스트레스 원인(총 3점)은 업무량 증가‧과다(1.62점)가 가장 높았으며 민원(1.57점)이 다음 순을 차지했다. 현재 필요한 서비스(총 5점)는 휴가(4.03점), 인력 충원(4.02점), 수당 등 경제적 지원(3.95점)이라고 답했다.
복지부는 "선별진료소 방역 인력을 위해서 휴식지원 차량을 운영하고 숲치유(산림청), 사찰체험(문체부) 등 관계부처와 지자체 힐링 프로그램을 통해 대응인력의 재충전을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관계부처와 지자체에서 대응인력 심리지원 계획을 수립, 코로나 우울 협의체를 통해 이행상황을 점검하는 한편 지자체와 연계‧협력을 통해 대응인력 맞춤형 심리지원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