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calTimes
  • 정책
  • 제도・법률

권역응급센터 불구 중증환자 전원 다반사…원인은 인력

발행날짜: 2021-10-13 05:45:59

김원이 의원, 의료인력난 시급vs의료계, 전원체계 구축 필요
복지부 "배후 진료 역량 문제…의료인력 등 종합적 논의해야"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지방의 권역응급의료센터 중 의료인력 부족으로 중증응급환자를 전원하는 사례가 국감 도마위에 올랐다.

이를 두고 국회는 의료인력 증원 필요성을 거듭 제기하는 모양새이지만 의료현장에선 의료인력 부족은 공감하지만 실질적인 대안으로 중증응급환자 전원체계 구축을 꼽고 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원이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국립중앙의료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권역응급의료센터 중증응급환자 전원 현황에 따르면 전원사유로 '응급수술 및 처치 불가로 전원'한 사례가 12.3%에 달했다.

'전문 응급의료 요하는 경우' 1.7%까지 포함하면 총 14%가 해당 권역센터에 적절한 의료인력 부재로 전원된 셈이다.

또한 심평원으로부터 제출받은 2020년 권역응급의료센터 중증응급환자 전원사유를 보면 전라남도의 경우 병실부족, 시설 부족으로 인한 전원은 0건이었다.

자료제공: 국립중앙의료원
하지만 응급수술 및 처치불가로 인한 전원이 255건, 전문응급 의료를 요하는 전원은 8건으로 총 263건이 적절한 의료인력이 없어 전원조치했다.

특히 전남도 권역응급의료센터인 순천 성가롤로병원과 목포한국병원의 의료인력 현황을 살펴보면 배후진료 역량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포한국병원 주요 진료과목별 의사 수는 산부인과 2명, 소아청소년과 1명, 흉부외과 2명, 마취통증의학과 4명에 그쳤다. 이는 당직 시스템을 원활하게 운영하려면 의사 수 5명이 갖춰져야 가능하다고 볼 때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다.

순천 성가롤로병원도 산부인과 4명, 소아청소년과 2명, 흉부외과 4명, 마취통증의학과 4명으로 목표한국병원 보다는 낫지만 5명 미만에 못미쳐 열악한 상황이다.

이 같은 실상에 대해 김원이 의원은 "권역응급의료센터임에도 전문의가 없어 중증응급환자를 전원조치하는 것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의미하는 것 아니냐"고 문제를 제기했다.

복지부가 권역응급의료센터로 지정된 의료기관은 가능한 중증응급환자 전원을 최소화할 것을 요구하고 있는 것을 감안한 때 일부 권역응급의료센터는 제 역할을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일선 의료현장의 의료진들은 "이는 공공의료 인력 확충으로 접근할 사안이 아니다"라고 입을 모았다.

지방의 한 응급의학과 의료진은 "중증응급환자를 살리는 것은 권역센터 지정보다 상급종합병원 지정 여부가 더 결정적"이라며 "권역센터이지만 배후 진료역량을 낮은 곳이 일부 있는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응급의학회 허탁 이사장(전남대병원)도 "권역응급의료센터는 인력, 시설, 장비 등은 갖춰져있지만 실질적으로 중증응급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배후 역량은 다른 문제"라고 말했다.

정부가 권역응급의료센터 지정 기준으로 제시하고 있는 인력, 시설, 장비 이외 배후 역량이 중요하다는 얘기다.

그는 "특정 권역응급의료센터에 중증응급환자 1명을 위해 24시간 365일 흉부외과 전문의를 상시 배치하는 것은 의료효율성에서 떨어진다"면서 "전원체계를 효율화 하는것이 현실적"이라고 말했다.

가령, 1년에 일부 건수에 그치는 대동맥류박리 중증응급환자가 발생했을 대비해 흉부외과 전문의 5명 이상 채용하는 것은 불가능할 뿐더러 비용효과 측면에서도 적절치 않다는 주장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이는 단순히 응급실 문제가 아닌 배후진료에 관련된 문제"라면서 "의료인력 등 전반적으로 검토해야하는 사안"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지방과 반대로 수도권 권역응급센터 내 병상부족으로 인한 전원율이 높은 것과 관련 경증환자 분산 정책도 필요할 것이라고 본다"면서 "중증도에 맞는 인프라 확충 및 응급실 이용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