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와 서울대병원, 의협 등은 일본 정부가 대지진 피해지역에 전문 의료진 투입을 요청할 경우 즉시 투입할 방침이다.
15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국립 및 민간 의료기관 소속 의사와 간호사 및 약사, 응급구조사 등 보건의료인 300여명이 일본 재난지역 긴급파견에 대비해 대기하고 있다.
이들은 2009년부터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이 주관한 해외재난긴급구호교육을 이수한 보건의료인이다.
의료진 파견을 전담하는 복지부 국제협력과는 현재 24시간 비상근무에 돌입한 상태다.
국제협력과 관계자는 "교육을 이수한 의료진에게 연락을 취해 놓은 상태"라면서 "피해 주민 진료를 위해 의약품과 의료기기 등 충분한 의료물품도 이미 확보했다"고 밝혔다.
그는 파견이 지연되고 있는 이유와 관련, "재난 발생시 국제관례상 해당국의 요청이 없으면 의료진을 파견할 수 없다"면서 "13일 출발한 긴급구조팀의 경우도 일본의 요청이 있어 피해지역 현지로 급파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11일 일본 동북부 지역에서 발생한 강진과 쓰나미로 인해 14일 현재 3000여명의 사망자와 1만여명의 실종자, 원전 폭발에 의한 방사능 유출 등 일본 대륙이 대혼란에 빠져들고 있다.
서울대병원을 포함한 대형병원들도 일본의 대재난 극복을 도울 채비를 마쳤다.
대한재난의학회장인 서울대병원 서길준(응급의학과) 교수는 14일 "일본 동북부 강진과 쓰나미로 인해 사망자와 실종자가 4만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돼 국제적인 구호와 의료 지원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라고 환기시켰다.
다만 서 교수는 "일본의 D-MAT(현장의료지원팀)에 확인한 결과 2500여명의 현장의료지원팀을 현지에 급파했지만 급성기 응급처치 대상 환자는 거의 없고, 이미 사망했거나 경증환자들이 대부분"이라면서 "좀 더 상황을 지켜봐야할 것 같다"고 말했다.
특히 서 교수는 일본 대지진 재난 상황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개별 의료기관 별로 현장에 투입해선 안된다고 지적했다.
서 교수는 "현지 여진과 방사능 노출 위험으로 현장에 접근해선 안될 뿐만 아니라 이를 어기면 일본 정부를 힘들게 하고, 더 큰 혼란을 초래할 수 있어 개별 의료기관별로 지원하는 것은 금물”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서 교수는 "일본과 한국은 그동안 방사능 비상진료에 대한 교류를 해 왔고, 상호 이해가 증진된 상태"라면서 "방사능 비상진료기관 등 훈련 받은 재난 지원팀이 우선 파견 대상"이라고 덧붙였다.
원자력의학원에 소재한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는 서울대병원을 포함한 전국의 22개 의료기관을 1~2차 방사선 비상진료기관으로 지정해 매년 훈련과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서 교수는 "일본은 선진국일 뿐만 아니라 재난 대응시스템이 우리보다 월등히 잘 갖춰져 있고, 방사선 노출 등을 우려해 외국에 의료진 파견을 요청하지 않을 수도 있다"면서 "하지만 일본이 도움을 청하면 언제든지 현지에 파견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서울아산병원 관계자도 "일본은 응급의료시스템이 잘 갖춰져 있지만 의료지원을 요청하면 즉시 의료인력을 파견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의협도 대지진 참사 지역에 의료지원을 하기 위한 준비 작업에 착수했다.
의협은 "일본은 의료 인프라가 잘 갖춰진 국가지만 연일 지진과 쓰나미 피해가 눈덩이처럼 늘어나고 있어 의료구호 활동을 요청할 가능성도 없지 않기 때문에 신속히 의료지원할 수 있도록 준비 작업에 착수했다"고 말했다.
의협은 14일 일본의사회에 대지진과 쓰나미로 인한 희생자와 유가족의 슬픔을 위로하는 서한을 전달하고, 현지의 의료구호 계획을 파악중이다.
의협 경만호 회장은 "일본 국민들이 다양한 위험으로 고통받고 있는 상황에서 한시라도 빨리 건강과 안정을 회복할 수 있도록 의료구호 활동을 준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