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A신경외과는 최근 보유하고 있던 병실을 폐쇄했다. 수익성이 갈수록 악화된다는 이유였다.
이 의원 원장은 "병실을 굳이 운영할 필요가 없었다"면서 "병실을 관리하는 간호사 등 직원 5명을 어쩔 수 없이 정리해고했다"고 말했다.
19일 개원가에 따르면 의원급 의료기관이 병실 운영을 포기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심평원 통계를 보면 2009년 1분기 의원급 입원병실은 3만 8120개, 입원병상은 9만 7543개였으나 올해 2분기에는 3만 7188개, 9만 4268개로 줄었다.
입원병실은 4.6%, 입원병상은 5% 가량 줄어든 것이다.
의원급 의료기관은 병실을 운영하는데 전방위적 압박을 받고 있다.
정신과 의원의 경우 고정된 정액수가가 병실 운영에 한계를 느끼게 하고 있고 신경외과·정형외과 등은 민영보험사의 압박이 상당한 요인이 되고 있다.
특히 경증환자의 입원을 막는 국토해양부의 자동차보험 환자 입원가이드라인이 본격 시행되면, 병실을 가진 의원급 의료기관은 고사할 수 있다는 이야기도 흘러나오고 있다.
김문간 의협 자동차보험협의회장은 "환자 입원 가이드라인은 개원가가 타깃"이라면서 "시행되면 병실 가진 의원들은 어려움에 처할 것"이라고 말했다.
의원급의 병실 폐쇄는 다양한 연쇄효과를 불러온다
한 개원의는 "의원의 병실 폐쇄는 결국 당직 간호사, 영양사 등 기존 인력의 감축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면서 "고용을 늘리려는 국가의 정책 방향과도 어긋나는 것"이라고 말했다.
폐쇄한 병실을 활용할 방안이 없어, 이전을 감행하는 의원도 적지 않다.
경기도에서 오랫동안 병실은 운영해온 한 개원의는 "과거 병원이 부족한 시절 의원이 병실을 통해 환자를 관리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면서 "정책적 지원 부족 속에 병실을 포기하는 개원의가 늘고 있는 현실이 안타깝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