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역외상센터가 성공적으로 자리잡으려면 외상진료에 대한 별도의 수가체계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새어나오고있다.
당장은 외상센터 설립에 필요한 지원금 80억원만으로도 어느 정도 유지할 수 있지만 냉정하게 바라볼 때 센터 운영을 유지하려면 현재의 수가체계로는 한계가 있다는 게 의료진들의 생각이다.
최근 복지부 권역외상센터에 선정된 A병원 응급의학과 주임교수는 8일 "현재 생존가능한 사망률이 35%에 달한다. 이를 10% 이내로 줄이는 게 목표"라면서 "이를 위해선 초기에 시설 및 장비 지원금만으로는 부족하다"고 말했다.
그는 "인건비 지급 등 제도적 보완이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외상센터를 운영하려면 의료진 이외에도 다년간 응급실 경력을 지닌 간호사와 방사선사 등 의료인력 배치가 필수적이다.
앞서 복지부 주최로 열린 '권역외상센터 설치지원 사업설명회'에서도 각 병원 의료진들은 인건비 지원책이 없으면 아무리 훌륭한 센터가 있더라도 무용지물이라고 입을 모은 바 있다.
A병원 주임교수에 따르면 외상센터는 언제 발생할 지 모르는 중증외상환자를 위해 의료진들이 대기하고 있는 시스템. 현재 환자가 진료를 받기 위해 대기하는 기존의 진료체계와는 완전히 다르다.
하지만 정부가 발표한 인건비 명목의 외상센터 전담 전문의 1인당 월 1천만원의 지원금으로는 외상센터를 운영하는 데 필수적인 간호사 등 부수적인 의료인력에 대한 인건비가 배제돼 있는 상황이다.
이 같은 이유에서 외상센터 운영에 대한 별도의 수가체계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외상센터로 선정된 또 다른 병원장은 "정부 지원금 80억원은 외상센터에 들어가는 의료장비 및 시설비로 모두 소요될 것"이라면서 "인건비는 병원 자체 수익으로 충당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다"고 털어놨다.
그는 "중증센터 특성상 장기입원환자가 늘어날텐데 대책이 없다"면서 "정부의 정책은 중증외상의 급성기환자에게만 초점이 맞춰져 있어 중증외상에서 만성질환으로 넘어간 환자에 대해서는 커버가 안된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병원 응급의학과 의료진은 "외상센터를 두는 것은 결국 24시간 신속하게 중증외상환자를 살릴 수 있도록 대기인력을 만드는 것에 의미가 있는데 이에 대한 지원이 없다면 성공적인 정책이 되기 힘들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