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의료진이 당뇨병 치료제가 인종이나 체형에 따라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 주목된다.
서울대병원 조영민(내과), 한서경(의학연구협력센터)교수 연구팀은 당뇨병 치료제인 DPP4 억제제의 치료 효과가 서양인에 비해 동양인에서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는 동양인이 서양인에 비해 비만도가 낮기 때문인데 인종 혹은 체형에 따라 당뇨치료법이 달라야한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연구팀은 국제논문에 발표된 55개의 임상연구에 참여한 1만 8328명의 당뇨병 환자를 재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연구팀은 54개의 임상연구를 동양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13개)와 서양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41개)로 나눈 후, 각각 DPP4 억제제를 사용했을 때 당화혈색소가 얼마나 떨어지는지 분석했다. 당화혈색소는 당뇨병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지표다.
그 결과 서양인(비교군: 7639명, 대조군: 6145명)에서는 DPP4 억제제를 투여한 비교군이 투여하지 않는 대조군에 비해 최근 3개월 간의 평균 혈당 조절을 반영하는 당화혈색소가 평균 0.65% 떨어지는 데 그친 반면 동양인(비교군: 2050명, 대조군: 1357명)은 평균 0.92% 떨어져 높은 치료효과를 보였다.
이와 함께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 목표치인 당화혈색소 수치를 7% 미만으로 조절하는 비율도 동양인이 서양인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동양인에서는 DPP4 억제제를 투여한 비교군이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당화혈색소 수치 조절에 성공한 비율이 3.4배 높은 반면 서양인에서는 1.9배에 그친 것.
연구팀은 동양인이 치료 효과가 더 우수한 것은 낮은 비만도와 관련 있는 것으로 해석했다.
또한 인종과 관계없이 당뇨병 환자의 비만도(BMI)가 낮을수록 DPP4 억제제 치료 후 당화혈색소 수치가 잘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동양인이 서양인에 비해 비만도가 더 낮게 나타났다.
조영민 교수는 "한국 의사들이 DPP4 억제제를 사용하면서 서양인을 중심의 연구 결과보다 약제의 효과가 더 강력하다는 것을 피부로 느껴왔는데 이번 연구를 통해 확실히 증명됐다"면서 "앞으로 한국인에 특화된 당뇨병 맞춤 치료에 활용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저명한 국제 학술지인 당뇨병학술지(Diabetologia) 4월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