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의료원 폐업 사태가 청와대와 복지부의 적극적인 개입으로 해결 기미가 보이고 있다.
지난 4일 경남 홍준표 도지사의 진주의료원 폐업 수순인 휴업 조치 발표 이후 의료원 직원들과 국회, 보건의료노조 등은 전방위에서 분노를 표출했다.
직원들은 진주의료원과 경남도청에서, 민주통합당 김용익 의원은 국회에서 폐업 결정 철회를 요구하며 단식농성에 들어갔다.
여론이 악화되자, 청와대는 10일 야당 의원들의 면담요청을 수용해 "최악의 상황은 안 된다"며 진주의료원 정상화 의지를 내비쳤다.
진영 복지부장관도 같은 날 진주로 내려가 의료원 직원과 입원환자 만남에 이어 홍준표 지사와 10분간 단독 면담을 갖고 의료원 정상화에 애쓰는 모습이다.
진주의료원 사태에서 한 가지 이해할 수 없는 점이 있다.
진주의료원을 제외한 나머지 33개 지방의료원이 침묵하고 있다는 것이다.
향후 결과를 떠나, 청와대와 복지부는 여론을 의식한 제스처라고 하더라도 나머지 지방의료원은 동네 불구경하듯 바라볼 뿐이다.
알려진 대로, 한 두 곳을 제외하고 전국 지방의료원의 만성적자는 1개소 당 최소 수 천 억원에 달하고 있다.
경영악화로 야기된 진주의료원 폐업 사태가 남의 일이 아니다.
하지만, 지방의료원연합회와 공공의료기관 공식단체인 공공의학회 모두 '일언반구'도 없다.
나중에 얘기를 들어보니, 지방의료원장 상당수가 성명서 발표에 동의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는 것이다.
이유인 즉, 직원들의 급여를 지급하기 위해서는 운영권과 예산을 쥐고 있는 지자체와 복지부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어처구니없는 일이다.
타성에 젖은 지방의료원 관행에 대한 뼈를 깎은 자성과 노력 의지를 천명하고, 공공의료기관에 대한 투자와 관심을 촉구하는 게 원장들의 책무이다.
의협과 약사회까지 진주의료원 파업 유보를 촉구하는 성명서를 내는 상황에서, 자리보전을 위해 정부 뒤로 숨어버린 지방의료원장을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