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임상현장에서 오래 살아남는 국산 의료기기 개발을 위해 정부와 민간의 연구개발(R&D) 투자 확대와 함께 선택과 집중을 통한 투자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8일 서울아산병원 의공학연구개발센터가 주관한 '의료기기 개발기업 초청 만남의 장'에서 사이넥스 김영 대표이사는 '병원과 의료기기기업의 효과적 연계' 발표를 통해 이 같이 조언했다.
김 대표는 "업체들의 아이디어가 실제 의료기기로 사업화될 확률이 낮고, 설령 제품화가 되더라도 임상현장에서 오래 살아남는 의료기기 사례는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정부나 민간에서의 의료기기 연구개발(R&D) 투자가 효과적으로 활용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병원 임상현장에서 많이 사용할 수 있는 의료기기를 개발단계 이전에 선별해 집중적인 R&D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 대표에 따르면 2011년 기준 국내 의료기기산업 총 연구개발 투자는 정부 2500억원과 민간 650억원을 합쳐 약 3200억원으로 국가 전체 연구개발비 대비 약 0.8% 수준에 불과한 실정이다.
또 국내 의료기기업체들의 2007년부터 2011년까지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약 10.4%로 나타났다.
이 같은 투자 비중은 미국 의료기기업체들의 14~17%과 비교해 크게 떨어지는 수치는 아니다.
하지만 전 세계 의료기기시장 45~50%를 점유하며 상대적으로 매출이 큰 미국 의료기기업체들의 연구개발비 약 15%는 한국과 비교되지 않는 엄청난 투자규모라는 게 김 대표의 설명.
그는 "한국이 전 세계의료기기산업을 주도하는 국가로 발전하기 위해 국내 의료기기업체들의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투자비중을 30%까지 끌어올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구개발 투자비중으로 30%를 내세운 이유는 새롭게 의료기기사업을 시작해 어느 정도 매출을 내고 있는 미국 의료기기 벤처업체들의 일반적인 연구개발 투자 비율이 30%이기 때문에 적어도 이 수준에 맞춰야한다는 것.
특히 민간보다는 국가 차원의 의료기기 연구개발비 투자 확대가 요구된다는 주장이다.
김 대표는 "국내 의료기기업체들 입장에서 연구개발비로 10%를 투자하는 것조차 어려운 현실인 만큼 민간에서 연구개발비를 확대하기란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정부가 국가 의료기기분야 연구개발 펀드 비중을 현행 0.8%에서 3% 수준까지 높여준다면 의료기기 개발에 더 많은 힘을 받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가 차원의 의료기기 연구개발비 확대와 더불어 효율적인 예산집행을 위한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는 주문도 이어졌다.
연간 3000억원 이상의 연구개발비 투자와 의료기기 임상시험 건수는 증가하고 있지만 정작 품목허가를 받고 제품화되는 경우는 매우 부족하다는 지적에서다.
김 대표는 "식약처가 2009년부터 2012년까지 4년간 품목허가 또는 병원 연구자가 신청한 의료기기 임상시험을 승인한 건수가 단 182건에 불과했다"며 "그동안 복지부, 식약처, 산업부 등 정부에서 의료기기 연구개발에 투자한 노력에 비해 매우 실망스러운 숫자"라고 밝혔다.
더욱이 임상승인 건수 182건 중 절반 정도는 의료기기업체가 품목허가를 받기 위한 목적이 아니라 병원 연구자가 임상연구용으로 신청한 것으로 의료기기 제품화와 직결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김영 대표이사는 "연간 3000억원 이상 연구개발비가 투자되고 있는데 정작 의료기기 제품화를 목적으로 의료기기 임상시험 승인을 받은 건수는 100건에 불과한 현실"이라며 "효율적인 의료기기 연구개발 투자를 통해 의료기기 제품화 및 사업화를 높일 수 있는 노력과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